반도체가 상반기 수출을 주도하고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등 반도체로 인한 ICT 산업의 수출 호조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산업부가 15일 공개한 2024년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전년대비 28.2% 증가한 1,088.5억달러로 상반기 기준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을 달성했으며, 수입은 0.7% 감소한 677.8억달러, 무역수지는 410.7억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수요 확대, 판매단가 상승 등으로 크게 증가해 전체 ICT 수출 성장을 주도하면서 1월부터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는 등 수출 호조세를 지속하고 있다.
품목별로 반도체(49.9%↑), 디스플레이(14.6%↑), 컴퓨터·주변기기(35.6%↑)는 증가, 휴대폰(2.8%↓)은 감소했고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7.3%↑), 베트남(21.7%↑), 미국(19.2%↑), 유럽연합(8.2%↑) 등은 증가, 일본(9.3%↓)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입(677.8억 불)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증가에도 휴대폰 등의 감소로 전년 상반기(682.5억 불) 대비 소폭 감소했다.
24년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210.5억불, 수입은 108.7억불, 무역수지는 101.8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휴대폰, 컴퓨터 및 주변기기 등 주요 품목 전반의 수출 호조로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주력 품목인 반도체는 전방산업 수요 확대, 단가 상승 등으로 수출이 크게 증가해 역대 최대 실적을 갱신했으며 전체 ICT 수출은 반도체의 성장 주도로 3개월 연속 30% 이상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반도체(49.4%↑), 디스플레이(22.6%↑), 컴퓨터·주변기기(48.9%↑), 휴대폰(8.0%↑) 등 주요 품목 전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29.2%↑), 베트남(36.8%↑), 미국(27.0%↑), 유럽연합(1.5%↑) 등은 증가하였으나, 일본(8.6%↓)은 감소했다.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08.7억불)은 반도체, 이차전지 등의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114.5억불) 대비 5.1% 감소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8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