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뿌리산업의 첨단화 및 지속 성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작년대비 57% 증가한 총 6,369억 원을 투자, 안정적인 뿌리기업 성장 및 제도 기반 조성과 혁신 역량 제고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서면으로 개최된 ‘제23차 뿌리산업발전위원회’를 통해 2024년 뿌리산업 진흥 실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8일 밝혔다.
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6대 기반 공정산업과 사출·프레스, 정밀가공, 적층 제조, 필름 및 지류 등 소재 다원화 공정산업, 로봇, 센서, 산업지능형 소프트웨어(SW), 엔지니어링 설계 등 지능화 공정산업 등 4개 부분의 14대 업종을 말한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는 6.1만개 뿌리산업 관련 기업에 73만이 종사한다. 제조업 내 비중이 10.4%(사업체 수)와 17.2%(종사자 수)에 달한다. 뿌리산업의 매출은 250조원으로 제조업 전체 매출의 10%를 차지했다.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지만 대부분 영세해 연구·개발 능력이 미흡하고, 인력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73만명 종사자 가운데 40대 이상 중장년층 비중이 68.2%며, 전체 종사자의 9.6%를 차지하는 외국인의 부족률이 5.8%로 높아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다.
정부는 노동집약적이고 부가가치가 낮은 뿌리산업을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2013년부터 뿌리산업진흥 기본 계획을 5년 단위로 세우고 있다. 이번 투자 계획은 3차 기본 계획(2023~2027년)의 연차별 실행안에 따른 조치다. 범부처별로 뿌리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되는 연구개발(R&D), 인력, 경영지원 등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총망라해 수립됐다.
올해 지원 예산은 전년보다 57% 증가한 6,369억원으로 정부는 올해 뿌리산업의 기술 혁신과 지속 성장을 목표로 △인력·자금 등 안정적인 성장 지원 △기업 혁신역량 제고 △첨단뿌리산업의 제도·기반 마련에 대한 세부 추진 과제를 마련했다.
먼저 뿌리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차세대 뿌리산업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신규 추진하고 뿌리산업 외국인 양성대학을 확대 운영(‘23년 9개 →‘24년 13개, 600명)한다. 이를 통해 청년 유입을 촉진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영자금을 우대 지원할 계획이다.그리고 사고위험이 많은 뿌리공정 등의 사업장에 대해 노후·위험공정 개선 등 안전설비 투자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 전환(DX) 기술 개발 등 뿌리산업의 혁신역량 지원도 강화한다. △뿌리기업 생산성 제고를 위한 자동화·지능화 지원(`24년 175억원) △공정 혁신을 위한 디지털 전환 촉진(`24년 87억원) △신사업 진출을 위한 BIZ 플랫폼(`24년 10억원) 등 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다.
더불어 지난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차세대 공통·핵심 뿌리기술개발(`25~`30, 총 1,131억원)을 실행하기 위한 상세 추진 전략도 마련할 예정이며, △글로벌 주력산업 품질대응 뿌리기술개발(’24, 20억원) △중견-중소기업 상생형 혁신도약(‘24, 90억원) 등 수요 연계 GVC 진출 및 중소-중견 상생형 R&D도 추진한다.
정부는 뿌리산업 제도·기반 확충을 위해 전국 뿌리기업 밀집 지역의 공동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하는 ‘뿌리산업 특화단지’ 지원 사업을 개편(지역 협업형 트랙 신설)해 지자체 및 지역혁신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핵심뿌리기술의 지정요건 등에 관한 고시에 지정돼 있는 핵심뿌리기술 목록을 △표면처리(3개) △정밀가공(1개) △적층제조(1개) △필름·지류(3개) △산업지능형SW(1개)최신 기술 트렌드를 반영해 현행화 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이번 실행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뿌리산업이 우리 국가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든든한 기반 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7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