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가 세계 최고 수준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차세대 마이크로LED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4년 디스플레이 분야 연구개발(R&D)에 전년(767억) 대비 17.7% 증가한 903억 원을 지원한다고 1일 밝혔다.
이 중 약 450억 원은 신규 과제에 투자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술 및 차세대 마이크로LED 기술 개발 등 도전적인 과제를 집중 지원한다.
우선, 우리가 세계 1위인 고부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분야는 압도적 기술 초격차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도록 초고휘도(2,000nit↑) 패널기술 개발, 초고해상도(4,000ppi↑) 마이크로 OLED 기술개발, 태블릿 등 IT기기용 OLED에 특화된 고수명 발광 구조·소재 개발 등에 약 239억 원을 투자한다.
또한 무기물 기반의 발광원을 사용해 밝기, 수명 등에 강점이 있는 마이크로 LED 분야에서도 현재 진행 중인 예비타당성조사 사업과는 별도로 40㎛급 LED 화소 제조기술 등에 202억 원을 지원해 본격적인 산업 육성에 나선다.
그 밖에 확장현실(XR) 관련 기술개발(9억 원)과 함께 투명·유연 디스플레이 등 새로운 디스플레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실증사업 등 계속과제(453억 원)에 대해서도 우수한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지속 관리해나갈 계획이다.
산업부는 신규 지원 과제를 이달 중 1차 공고할 예정이며, 연구개발(R&D) 지원 외에도 관계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민간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확대, 킬러규제 혁파, 전문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