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이 우리나라 지능형 로봇산업 활성화를 위한 로봇의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 연구개발에 출연연의 핵심 역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지능형 로봇산업 관련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고 미래 핵심기술인 생성형 AI(인공지능) 소개와 활성화 방안을 담은 기계기술정책 제114호 ‘지능형 로봇 및 생성형 AI 동향분석과 시사점’을 4일 발간했다.
기계연은 국가 차원의 지능형 로봇 산업활성화를 위한 지속적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앞다투어 지능형 로봇시장에 뛰어드는 가운데,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인 프레시던스 리서치(Precendence Research)는 글로벌 지능형 로봇시장이 ’20년 708억 달러에서 ’26년 1,419억 달러로 연평균 12.3%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능형 로봇 기술의 하나인 생성형 AI는 딥러닝을 포함한 AI를 이용하여 언어, 비전 등 컴퓨터로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술 분야로, 향후 제조로봇과 물류로봇, 의료로봇 및 생활지원로봇 등 로봇시장을 확장시킬 핵심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로봇산업 종합경쟁력은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에 비해 부족한 경향을 보이며, R&D 역량도 중국에 추격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지능형 로봇의 경우, 기술수준 순위가 미국(100%), 유럽(95.9%), 일본(95.8%), 한국(85.6%), 중국(81.6%)으로 나타나며,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은 미국 대비 0.9년의 기술격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가 향후 지능형 로봇산업의 선두로 거듭나려면 로봇의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 향상을 위한 △사람과 공존·협업을 위한 로봇지능 센서 솔루션 및 제어기술 △제조, 물류, 의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의 적용을 위한 로봇 성능 및 신뢰성 향상 연구 △대기업 위주 AI 신기술을 중소기업으로 기술이전 및 기술경쟁력 확대 등이 필요하다.
기계연도 AI로봇연구본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일상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로봇 범용 작업 인공지능(RoGeTA) 프레임워크 핵심기술개발 연구’를 통해 로봇 지능기술 고도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기계연 기계기술정책센터 김철후 선임연구원은 “지능형 로봇은 글로벌 패러다임을 재편할 수 있는 거대 시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지능형 로봇이 스마트폰처럼 보급되는 로봇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관련 R&D 및 투자 확대는 물론, 지능형 로봇기술 선점을 위한 정부의 글로벌 R&D 협력 지원 또한 필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6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