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공학 플랫폼이 국내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제품개발을 앞당겨 매출증대 및 고용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 이하 KIAT)은 12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 사업성과 및 기업지원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사업 수행 연구개발기관, 소부장 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소부장 기업의 디지털기술 활용 확산 및 디지털 전환(DX) 촉진을 위한 분야별 플랫폼 구축현황과 기업지원 우수사례 발표, 1:1 현장상담이 진행됐다.
시뮬레이션, 데이터, 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면 기업은 제품개발 및 생산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나 중소기업은 비용, 인력 등의 문제로 관련 기반이 부족한 상황이다.
산업부와 KIAT는 2017년부터 가상공학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해 국내 소부장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금속(한국재료연구원) △화학(한국화학연구원) △섬유(DYETEC연구원) △세라믹(한국세라믹기술원) △기계(한국기계연구원) △데이터(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소부장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플랫폼을 통해 기업에 기술 컨설팅, 디지털 설계·해석 지원, 재직자 교육, 소재데이터 및 AI모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기업지원 689건, 인력양성 4,891명의 성과를 창출했으며 소재 데이터 397만건을 축적했다.
올해 가장 대표적인 기업지원 성과로는 방열복 제조 전문기업인 ㈜성광테크 사례가 있다. 산업용 방열보호복은 소방, 제철, 유리 제조업 등 초고온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방호성능, 작업성 및 쾌적성 등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지만, 성능 문제로 대부분 수입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성광테크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개발을 위해 가상공학 플랫폼 기업지원을 요청했으며, 다이텍연구원의 시뮬레이션 인프라 및 전문인력을 통해 공정변수 설정·최적화와 최종제품의 열전달·열유동 해석 등을 지원받았다.
그 결과 화재·초고온 환경 대응용 방열보호복 제품개발에 성공했고, 제품 사업화를 통해 매출액 8천만원, 신규고용 3명, 특허출원 4건 등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민병주 KIAT 원장은 “가상공학 플랫폼은 국내 소재·부품·장비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기업지원 창구”라며 “이번 성과공유회를 계기로 기업지원, 교육, 소재데이터 서비스와 지원분야 확대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