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친환경 자동차 수출 확대에 따른 우리나라의 자동차 수출 호조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단기적으로는 수출시장 다변화를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연구원(KIET, 원장 주현)은 ‘자동차 수출구조 변화와 향후 과제’ 보고서를 1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월 기준 60억 달러 수출 성과를 이뤄낸 우리나라 자동차산업 수출 확대 요인으로 높은 친환경 자동차 경쟁력이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주요국의 공급망 정책, 신흥 시장의 친환경 정책 등에 따른 위협 요인과 기회 요인이 시장에 공존하고 있어 수출시장 다변화 방안 마련과 함께 모빌리티 서비스와 차량용 소프트웨어 분야 등의 경쟁력 확보를 통한 중·장기적인 자동차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추진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국내 민간 부문의 노력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수출은 코로나19의 영향 등으로 2020년 356억 달러를 기록한 이후 수출 단가가 높은 친환경 자동차 비중 증가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대미 수출 증가가 이러한 수출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에 전체 수출액에서 9.3%를 차지하던 친환경 자동차는 2022년에는 31.1%, 2023년 1분기에는 37.1%로 그 비중이 크게 상승했다. 또한, 전체 신차 수출액에서 미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38.3%에서 2022년 45.3%로 상승했다. 우리나라는 올해 1분기 기준 미국의 친환경 자동차 최대 수입국으로, 2020년 4위, 2021년 2위를 기록한 후 2022년부터 1위 자리를 이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장조사기관인 J.D. Power의 상품성 만족도 조사와 전기차 소유 경험 조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자동차에 대한 만족도가 2019년 대비 크게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어, 우리나라 친환경 자동차 경쟁력 향상이 수출 증가에 이바지하였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최근 자동차 수출이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지만, 주요국들의 자국 중심의 공급망 개편 전략 추진과 전기자동차 시장 경쟁 심화는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위협 요인으로 평가된다.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EU의 기후중립산업법 및 핵심원자재법 등은 향후 배터리와 전기차 생산거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 우리나라 전기차 수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신흥국들의 친환경 자동차 보급 촉진 정책 확대는 기회 요인으로 판단된다. 특히, 인도 및 아세안 국가들의 친환경 자동차 수요 증가는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수출 증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협 요인과 기회 요인이 공존하는 자동차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 자동차 기업들은 상용차 부문에서의 전동화 추진과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에 대한 대응력 확대, 차량용 소프트웨어 경쟁력 확보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상용차 시장에서 전기차량 판매 비중이 낮은 편이지만, 향후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이 필수적이라 다수의 기업이 해당 시장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수요 확대 정책이나 연구개발 지원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자율주행과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에서의 수익성 창출과 함께 소프트웨어를 통한 차량의 상품성 향상이 향후 자동차산업 경쟁력의 중요 요소로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하드웨어와 함께 소프트웨어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도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의 자동차 수출 성과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위협 요인에 대한 대응책을 확보하고, 기회 요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 경제 불확실성 확대의 대응 방안으로 수출시장 다변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호주나 인도네시아 등 배터리 핵심 소재의 생산국과 친환경 자동차 및 배터리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더 나아가 탄소중립과 공급망 문제에 대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중·장기적 경쟁력 확보 및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용차 부문의 전동화를 위한 정책 확대와 모빌리티 서비스 및 차량용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국내 상용차 전동화 확대를 위한 정책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은 물론 관련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함께 추진해, 상용차 전동화 확대가 수출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 마련이 절실하다.
또 차량용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민간 부문의 투자 확대와 함께 인력 양성 정책을 추진하고, 모빌리티 서비스 관련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기업의 시장 진입과 관련 인력의 수급 확충을 도모할 필요성이 있다.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는 실증기반 확대와 데이터 활용에 관한 제도적 기반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한 민간과 정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보고서는 이러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민간 부문 노력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나아가 민간 부문의 창의성이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을 때 산업경쟁력 강화의 결실을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4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