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캐나다와 함께 핵심광물과 청정 에너지 분야 협력을 통해 IRA 대응 강화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천연자원부와‘핵심 광물 공급망·청정에너지 전환·에너지 안보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이번 MOU를 통해 핵심광물 교역·투자·재활용 등 핵심광물 전반, 수소 등 청정에너지 및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IRA 전기차 세액공제(7,500불) 중 핵심광물 분야 세액공제(3,750불)를 받기 위해서는 미국 또는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핵심광물을 추출 또는 가공해야 한다.
캐나다는 핵심광물이 풍부하며, 미국과 FTA(USMCA)를 체결하고 있어 미국의 IRA 대응을 위해 협력이 긴요한 국가다.
이번 MOU 체결로 핵심광물 분야의 정부 간 협력이 보다 진전되고, IRA 대응과 관련해 우리 업계의 핵심광물 조달능력 다변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캐나다는 수력·천연가스 등 청정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고, 이에 기반한 청정수소 생산에도 강점을 가지고 있는 바, 청정에너지 기술 협력, 수소 생태계 조성, 우리기업의 에너지분야 시장진출 등 협력 수요가 다양하여, 앞으로 상호 윈-윈의 협력도 기대된다.
산업부는 “이번 MOU가 양국 간 구체적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캐나다와 본격적인 협력채널을 가동하는 등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