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수출기업의 10곳 중 4곳은 올해도 러-우 전쟁의 장기화, 수요확대 등으로 원자재가격이 상승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한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지속돼 경영환경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 원자재 가격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금융·세제 및 물류 애로 완화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 이하 전경련)는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금융권 제외, 총 15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2023년 주요 기업 원자재·공급망 전망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42.7%는 올해 글로벌 원자재가격이 상승(매우 상승 4.7%, 다소 상승 38.0%)할 것으로 예측했다. 2022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는 기업은 29.3%였으며, 다소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은 28.%였다.
원자재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28.1%) △‘팬데믹 리스크 감소에 따른 수요 확대(28.1%)를 가격 상승의 이유로 꼽았다.
또한△美 긴축 지속으로 인한 환율 상승 우려도 26.6%의 기업이 상승 원인으로 지목해, 불안정한 금융환경도 원자재 가격 전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 및 친환경 트렌드에 따른 신규 수요 증가(9.4%) △각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원자재 확보 부담 증가(4.7%)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원자재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이유로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 예상(54.8%)을 가장 많이 꼽았다. 하락을 예상한 기업 중 절반 이상이 경기 침체로 산업 수요가 감소해 원자재 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본 것이다.
이어 △현재 원자재 가격 수준이 너무 높음(28.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9.5%) 등이 가격 하락을 전망한 이유로 지목됐다.
기업들은 원자재 수급 안정화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원자재 구매·수입 관련 금융·세제 지원(28.8%)’을 꼽았다. 이어 △환율·금리 등 거시경제지표 안정화(26.1%) △원자재 가격 및 수급 정보 제공(14.4%)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공급망 여건은 지난 2022년과 유사할 것이라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으나(62.7%), 악화될 것으로 보는 기업은 19.3%(매우 악화 0.6%, 다소 악화 18.7%)로 호전될 것으로 보는 기업 18%(매우 호전 1.3%, 다소 호전 16.7%)보다 많았다.
기업들은 공급망에서 가장 우려되는 위험 요소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원가 상승 등 원자재 가격 변동(29.2%) △금리 인상, 환율 변동성 등 금융·외환의 불안정성(17.2%)을 꼽았다.
전경련은 기업들이 올해 원자재 가격 변동을 가장 큰 공급망 리스크로 꼽는 상황에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공급망 불안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기업의 13.3%는 공급망 불안 해소를 위해 해외에 있는 생산·사업 거점의 국내 유턴을 검토한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기업들은 공급망에 대응하기 위한 내부대책으로 △공급처 다양화를 통한 재료·부품 조달(37.7%) △공급망 전담 조직 및 인력 강화(15.4%)에 나서고 있었다.
가장 필요한 정책 지원으로는 ‘물류 애로 완화 및 운임 안정화 지원(28.2%)’을 꼽았다. 이어 △수급처 다변화를 위한 거래처 정보 제공 및 지원(22%)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14.6%) 순으로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은 올해 가장 큰 공급망 리스크로 원자재 가격 변동을 꼽고 있다”며 “원자재 가격 상승이 공급망 충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모니터링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