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겨울철의 차가운 자연 냉열을 땅 속에 저장했다가, 하절기에 하우스 등 냉방에 활용하는 새로운 냉방기술을 개발해, 하우스 폭염피해 및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하게됐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은 에너지네트워크연구실 윤영직 박사 연구진이 겨울철 차가운 냉기를 이용해 여름철 농촌의 하우스 냉방에 이용할 수 있는 기포자가진동현상을 적용한 열교환장치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한여름 폭염 속 하우스 온도는 50~70℃에 달해 농작물에 치명적이다. 전기냉방기기는 한계가 있고 에너지비용은 농가에 부담이 된다.
이러한 가운데 연구진이 외부 동력이 필요 없는, 기포자가진동현상을 이용한 고성능 열교환 장치 개발에 성공했다. 개발한 열교환장치는 차가운 외기와 축냉조에 연결된 구불구불한 형태의 모세관 튜브와 튜브 내부의 냉매로 구성돼 있다. 땅속에는 냉기의 저장매체로 물이 축냉조에 보관돼있다.
겨울철에는 차가운 외부 공기와 덜 차가운 땅속 물의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이때 열교환 장치 양쪽 끝에서 발생하는 온도차로 내부 냉매가 빠르게 진동, 흐름이 발생하며 많은 양의 열을 빠르게 전달한다. 즉, 땅속 물의 열이 더 차가운 외부로 방열되며 물 온도는 점점 낮아져 차갑게 되고 이를 여름까지 보관 후 이용하는 것이다.
열교환 장치 작동에는 외부 동력이 필요 없기 때문에 운전비용이 전혀 들지 않고 물질의 상변화를 통한 잠열을 이용하면 많은 양의 열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열 교환 기술대비 에너지소비량은 50% 이상, 크기는 30%이상 줄일 수 있다. 냉열 생산 효율은 극대화되고 장치 제작에 소요되는 단가 절감도 가능해 매우 경제적이다.
한편, 연구진은 냉열 생산 열교환 장치를 2022년 3월부터 강원도 평창군 소재의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실증 부지에 설치해 냉열 생산과 냉열 저장 실증 실험을 수행했다. 약 1kW의 냉열 생산 성능으로 약 4.5℃의 냉수를 생산해 1톤 용량의 지중 축냉조에 저장할 수 있다.
연구진은 열교환 장치의 용량과 성능을 높여 올 10월 완공되는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 스마트팜 첨단농업단지 내 100평 규모 유리 온실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로 냉방 공급 실증을 진행한다. 또 식물공장형 인도어 팜, 도심 건물 등 수요처의 냉방 및 공조 기술로 확장할 계획이다.
연구책임자인 윤영직 박사는 “급격한 기후위기에 따른 식량안보 강화를 위해 고효율, 저비용의 신재생에너지 기반 시설하우스 냉방기술 확보가 중요해 겨울철 신재생 자연냉기를 이용한 냉방기술이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5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