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민관 합동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를 출범하며 올해 1조 이상의 원전관련 일감을 집중 공급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위원장, 이하 산업부장관) 주재로 제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고 18일 밝혔다.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는 지난 11일,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 및 추진단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국무총리훈령, ‘22.8.11 제정)에 따라 설치됐으며, 산업부장관을 위원장으로, 9개 관계부처 차관급과 공공기관·산업계·학계·민간전문가 등 30여명의 최고 전문가로 구성했다.
추진위원회는 원전수출 종합 전략을 수립·시행·점검·평가하고, 관련 정책조정, 국가간 협력 등 원전 및 관련 산업의 해외진출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정책을 수립·추진하게 된다.
이 장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1978년 고리1호기가 상업발전을 시작한 후 처음으로 정부 뿐 아니라 민관이 모두 참여한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 출범에 큰 의미”가 있다며 “2030 NDC 달성 및 안정적 전력수급 등 우리 앞에 놓인 도전에 비추어, 지난 탈원전 정책은 더 이상 현실과 조화를 이루기 어렵다”고 전했다.
이어 그간 일감이 고갈되어 어려움에 빠진 원전산업 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이 시급한 만큼, 최우선 과제로 금년중 1조원 이상의 일감과 금융 등을 원전협력업체에 공급 중이며, 아울러 원전 업체가 참여 가능한 발전사 일감 제공도 추진 중임을 설명했다.
또, “체코, 폴란드, 영국, 사우디 등 전 세계 많은 나라들이 우리 원전의 우수성을 높이 평가하고 한국과의 원전협력을 타진하고 있는 만큼, 13년 전 바라카 원전 수주에 이어, 올해를 원전 수출의 새로운 원년으로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치열한 수주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를 통해 국가별 여건과 환경, 협력이슈 등을 분석하고, 방산, 건설·인프라, IT, 금융, 안전규제 등을 망라한 차별화된 수주전략을 마련하여 수출 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제1차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에서는 △추진위원회 운영방향 △기자재업체 경쟁력 지원방안 △체코, 폴란드 주요 협력 이슈와 대응 △원전수출 지원공관 지정 △UAE 바라카 사례 분석과 성공전략 등 총 5개 안건에 대해 원전시장 트렌드를 반영, 각 기관별로 필요한 의견을 개진하고 관련 사항을 논의했다.
첫 번째 안건으로는 운영 기본 원칙, 주요 추진사항 등 추진위원회의 운영과 기관 간 유기적 협력방안을 논했으며, 수주대상국별 여건과 특성에 따라 활동을 차별화하고, 원전수출 유형, 국가 간 협력이슈, 금융과 법률 등 주요 의제별 전담기관이 전략을 마련키로 했다.
또 현지공관과 유관기관 등으로 원전수출협의체를 구성해 원자력 세미나, 원전산업 로드쇼, 주요인사초청등도 추진한다.
우선 일감을 조기에 창출하여 원전 생태계를 회복하고 협력업체의 활력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금년 중 1조원 이상의 일감을 공급하기로 했다.
또, 맞춤형 수주 전략으로 글로벌 시장을 개척하여 일감의 연속성을 강화하기 위해, 원전부품 발주국에 대해 맞춤형 입찰정보 시스템을 가동하고, 글로벌 인증지원기업수는 연 65개에서 100개로 확대하며, 벤더등록 지원기업수도 연 35개에서 65개로 늘린다.
또, 차세대 기술개발지원, 고급전문인력양성, SMR 공급망 진인 지원 방안도 나선다.
사업자 선정이 임박한 체코, 폴란드 등 협력이슈에 대해서는, 그간 수주활동과 고위급 면담 등을 통해 파악된 협력수요와 필요한 세부과제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아울러 수출대상국과의 네트워크 구축 강화, 수주 정보 파악대응, 한국 원전 홍보 등 현지 소통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재외공관 8개 △체코 △폴란드 △사우디 △네덜란드 △남아공 △영국△필리핀 △카자흐스탄을 원전수출 지원공관으로 지정하는 것도 논의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기관 역량을 총 결집해 방산, 수소 등을 비롯한 협력이슈를 면밀하게 검토하는 한편, 유기적 협력과 조율을 통해 팀 코리아가 대상국과의 협력 관계를 더 진전시키고 원전수출의 가능성을 높여나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49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