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원자재 수급난 및 공급망 애로로 인해 올해 하반기 우리나라 수출 증가세가 크게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반도체·석화·철강 등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으로(150개사 응답) ‘2022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최근 밝혔다.
조사에 응답한 기업들은 평균적으로 올해 하반기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0.5%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전기전자(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이동통신기기)(-3.8%) △철강(-2.9%), △석유화학·석유제품(-1.1%) 업종은 올해 하반기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바이오헬스(+0.8%) △자동차·자동차부품(+3.4%) △일반기계·선박(+3.9%) 업종은 올해 하반기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 수 기준으로는 44%의 기업들이 올해 하반기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고, 56%의 기업들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반기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경쟁력 약화(41.2%) △해상 및 항공 물류비 상승 등 공급망 애로(21.9%)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제 상황 악화(21.1%) 등을 주요 요인으로 지목했다.
반면 하반기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들은 △코로나19 완화 및 세계 교역 활성화(45.1%) △원화 약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 상승(21.3%)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수출 단가 상승(16.4%) 등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응답 기업의 42%는 올해 하반기 수출 채산성이 전년동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변했고, 40%의 기업들은 악화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수출 채산성 악화의 요인으로는 △원유, 광물, 농산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39.8%) △해운 운임 증가 등 물류비 상승(31.5%)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이자비용 상승(15.7%) 등을 꼽았다. 전반적인 생산원가의 상승이 수출 채산성을 떨어트리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하반기 우리 기업들이 수출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원/달러 환율 수준은 1,206.1원으로 조사돼, 1,300원에 육박하는 고환율이 앞으로도 상당 기간 지속된다면 수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추가적인 수출 채산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61.4% 기업들은 엔화 약세 기조가 수출 경쟁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답변했고, 다소 불리하다고 답변한 기업들의 비율은 23.3%, 다소 유리하다고 답변한 기업들의 비율은 12.7%으로 나타나, 엔화 약세의 영향은 우리 수출기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된다.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 우선순위로 △원자재 수급 애로 해소(35.2%) △해상운송 등 수출물류 애로 해소(34%) △한일관계, 미중 무역 분쟁 등 외교 현안 해결(15.4%) 등을 꼽았다.
원자재 수급 애로에 대응하기 위해서 △원자재 구매자금 지원 확대(32.1%) △원유 및 벙커C유에 대한 관세 폐지(26.1%) △해외자원개발 추진(17.9%) 등의 노력을 해야한다고 응답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우리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는 수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정부는 원자재 공급망 확보, 수출물류 애로 해소 등 우리 기업의 수출 실적 개선을 위한 환경조성에 더욱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49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