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제주에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재활용해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만들고 풍력발전 설비와 연계해 생산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시스템을 개발 및 실증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는 재생에너지의 안정적인 계통 연계와 에너지저장장치(ESS)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를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한국남동발전과 어스앤배터리가 주관한 ‘풍력연계형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실증 사업’은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 풍력발전과 연계사업으로 최초 사례로 꼽히고 있다.
양사는 30일 전기차 사용후배터리를 활용한 풍력발전 연계형 에너지저장장치(ESS)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위해 △한국남동발전은 제주시 애월읍에 건설중인 21MW급 어음풍력발전에 실증장소와 발전분야 기술을 지원 △어스앤배터리는 사용후배터리 공급, 진단 및 검사, 에너지저장장치(ESS) 제작에 참여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풍력발전 연계형 에너지지정장치(ESS) 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해 사용후배터리 활용분야를 다양화하고, 에너지저장장치(ESS) 경제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실증특례를 부여하는 등 사용후배터리의 효율적인 재사용과 에너지저장장치(ESS) 관련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동 사업을 적극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