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이 수소에너지와 배터리 소재 사업에 2030년까지 총 10조를 투자하며 확대에 나선다.
롯데케미칼은 19일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롯데케미칼 2030비전 달성을 위해 범용 석화사업 및 고부가 스페셜티 사업을 확대하고, 수소에너지, 전지소재, 리사이클, 바이오플라스틱 등 Green 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개편한다고 19일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교현 부회장(롯데그룹 화학군 총괄부회장)과 황진구 기초소재사업대표 겸 수소에너지사업단장, 이영준 첨단소재사업대표 겸 전지소재사업단장, 김연섭 ESG경영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롯데케미칼은 고부가 스페셜티&그린사업을 2030년까지 전체 매출의 60%까지 확대하며 범용 석유화학사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해 매출을 지난해 11조원에서 20조원 규모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스페셜티 사업은 고부가가치화와 신사업군 진출로 연 7조원 매출에서 18조원으로, 수소 및 배터리 소재와 리사이클·바이오 플라스틱 등 신사업에선 연 매출 12조원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특히, 국내 수소생태계 구축 및 수소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2030년까지 총 6조원을 투자해 120만톤 규모의 청정수소 생산 및 매출 5조원 달성을 목표로 한다.
우선 국내 수요 증가에 대비해 해외 청정 암모니아 도입을 추진한다. 또 청정수소 생산, 수소 유통망 증대, 발전용·연료전지·충전소 활용을 확대한다. 대규모 소비처, 대량 공급망, 친환경 기술 등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수소중심의 그린순환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이어, 배터리 소재 솔루션을 확대해 글로벌 배터리 소재 선도 기업으로 도약에 나선다. 2030년까지 총 4조원을 투자해 리튬이온배터리의 4대소재분야에 4조원, 차세대 배터리분야에 1조원 등 매출 5조원 달성에 나선다.
이를 위해 롯데케미칼 중심 화학군내 계열사들과 시너지를 도모해 사업을 추진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4대 소재와 차세대 배터리 소재 사업을 확대하고 미국 내 전지법인 사업 총괄 법인 상반기내 설립을 목표로한다.
리사이클 및 바이오플라스틱 사업확대를 통해서는 순환경제 시대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친환경 리사이클 제품을 100만톤 생산을 위해 2030년까지 총 1조원 투자 및 매출 2조원 규모로 사업을 확대한다.
ESG 비전 및 전략으로는 ‘Green Promise 2030’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확보를 위해 넷제로(Net zero), 순환 및 공존의 사회적 가치창출, 그린이노베이션을 추진할 예정이다.
김교현 부회장은 “팬데믹 시대에 탄소중립 등 화학사들에 근본적 변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라며 “기존 사업 역량을 동력으로 삼아 지속가능한 발전과 친환경 가치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