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E&S(대표이사 유정준, 추형욱)가 미국에서 세계 최대규모의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프로젝트에 참여, 이산화탄소포집 시장 공략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SK E&S는 미국을 대표하는 에너지 기업 등과 함께 북미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프로젝트에 1,300억을 투자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사업은 미국 중서부 지역 5개 주, 32개 옥수수 에탄올 생산설비 시설에서 발생하는 CO₂(이산화탄소)를 연간 최대 1,200만톤까지 포집·저장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CCS 프로젝트다. 포집된 CO₂는 총 길이 3,200Km의 전용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돼 노스다코타주에 건설 예정인 지하 탄소저장 설비에 영구 저장된다.
미국은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기 위해 2005년부터 가솔린 차량에 바이오 에탄올을 최소 10% 이상 혼용해야 하는 바이오 연료 혼합의무제도(RFS)를 시행중이다. 옥수수 등 곡물을 발효시켜 추출하는 바이오 에탄올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생산과정에서 CO₂를 발생시킨다.
SK E&S는 1.1억달러(약 1,300억원)를 투자해 사업 주체인 Summit Carbon Solutions 지분
약 10%를 확보할 예정이다. 이번 CCS 프로젝트는 내년 상반기에 본격적인 CO₂ 저장설비 및 파이프라인 등의 착공에 들어가 2024년 하반기 상업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파이프라인이 통과하는 미국 중서부 지역은 암모니아 생산 기지 등 CO₂를 다량 배출하는 공장들이 밀집해 있어 향후 CCS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SK E&S는 미국 및 중남미 등지에서 활발하게 바이오 연료 사업을 추진해왔던 Summit Agricultural Group(이하 써밋)의 경험과 석유·가스분야에서 다양한 파이프라인 운용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최대 석유·가스 기업 컨티넨탈社와 함께 ‘CCS 드림팀’을 구성했다.
SK E&S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이번 CCS 프로젝트에 참여해 앞으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대형 CCS 관련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고, 나아가 탄소 배출권 확보를 통해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도 기여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편, SK E&S는 현재 호주에서 추진하고 있는 바로사 가스전 개발사업에도 CCS 기술을 접목시켜 천연가스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제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SK E&S는 채굴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전량 포집해 인근 폐가스전에 저장하고, 공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여 CO₂ 또한 탄소배출권 확보 등을 통해 배출량을 전량 상쇄시킬 계획이다.
또 CCS 기술을 향후 수소 생산 과정에도 적용해 충남 보령 인근에 들어설 수소생산 플랜트에서 2025년부터 CO₂를 제거한 청정수소도 생산할 예정이다.
유정준 SK E&S 부회장은 “SK E&S는 앞으로 미국에서 CCS를 포함한 저탄소 에너지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미국 정부가 2030년까지 목표한 온실가스 감축량의 5%인 약 1억톤 상당의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