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2-05-09 11:16:02
기사수정


▲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2022년 4월 표지



국내 연구진이 잉크 코팅 방식을 통해 페로브스카이트/CISSe 탠덤 태양전지 최고 효율을 기록하며 양산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김종남) 태양광연구단은 대기 환경에서 간편하게 용액을 발라 코팅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는 저비용·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CISSe 탠덤 태양전지 핵심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쇼클리-콰이저(Shockle y-Queisser)’ 이론에 따르면 기존 단일접합 태양전지가 가질 수 있는 최대 효율은 약 30% 초반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두 개의 서로 다른 에너지 흡수대(밴드갭)를 가진 태양전지를 적층해 빛의 이용률을 높인 게 탠덤 태양전지이다.


탠덤 태양전지는 일반적으로 실리콘이나 CIGSe계 태양전지를 하부셀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상부셀로 결합해 구성한다. 하부셀은 주로 장파장의 빛을 사용해 CIGS계 태양전지를 하부셀로 적용할 때는 갈륨(Ga)을 제거해 밴드갭을 낮춘 CISe 또는 CISSe 흡수층이 주로 활용된다.


고효율과 더불어 유연성 등 다기능성이 장점인 페로브스카이트/CISSe 탠덤 태양전지의 경우, CISSe 하부셀의 저가화를 위한 용액 공정으로 DMF(Dimethylformamide) 용매에 구리(Cu), 인듐(In), 황(S) 출발물질을 녹인 잉크 코팅법이 있다. 하지만 공정 중의 산소 및 수분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박막 코팅을 불활성 기체 분위기(질소를 채운 글로브 박스)에서 진행해야 하는 제한이 있어 양산이 어렵다.


연구팀은 양산성 확보를 위해 DMF 용매 기반 연구과정에서 공기 중 산소를 활용해 박막의 특성과 태양전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DMF기반 공정에서 CISSe 박막 형성 중 생성되는 표면 결함은 전하의 재결합 손실과 전하 이동을 방해해 효율을 저하시킨다. 원인은 박막 형성에 필요한 핵심 원소인 인듐(In)의 확산 및 반응 속도가 다양한 확산 방해 요소에 의해 제한 받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인듐(In)의 확산 및 반응에 최적화된 열처리 온도와 산소 공급 조합을 통해 표면 결함을 감소시켰다.


그 결과 양산 가능성이 높은 공기 중 용액 코팅 방식을 사용하면서 질소 분위기에서 제작한 기존 소자의 최고 효율인 13.5%를 뛰어넘는 새로운 최고 효율 기록 14.4%(인증효율 기준, 용액 공정 CISSe 태양전지 카테고리)를 달성했다. 기존 페로브스카이트/CISSe 탠덤 태양전지 최고 효율 19.4%를 크게 상회하는 효율이다.


교신저자인 안세진 박사는 “이번 결과는 탠덤 태양전지의 높은 발전 성능과 저비용 공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는 데 중요하다”며 “향후 일체형 태양전지 구현 및 대면적화에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본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특히 연구결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에너지 환경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지인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IF 38.532)’紙의 4월 표지논문(Outside front cover)으로 선정됐다.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4872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