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은 1분기 영업이익이 원재료 가격 상승 및 부품 수급난 등으로 인해 전년대비 감소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1분기 실적발표회를 통해 매출 4조3423억 원, 영업이익 2589억 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1% 증가했고, 전분기대비 2.2%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24.1% 감소했으며 전 분기대비로는 매출은 2.2% 감소, 영업이익은 242% 증가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 CFO 이창실 전무는 “원재료가 상승, 차 반도체 부족, 러-우분쟁 부품수급난 등 불확실성 요인이 적지 않았다”며 ”EV용 원통형배터리 수요 견조. 주 원자재가의 판가 연동을 통한 영향 최소화와 공정 자동화로 시장전망을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고 밝혔다.
이어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글로벌 생산능력 확대를 위한 시설 투자에 약 7조원 수준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생산 능력을 올해 말 200GWh 수준에서 2025년 기준 520GWh까지 확대한다. 올해 매출 목표는 지난해(17조9000억원) 대비 약 1조3000억원 늘어난 19조2000억원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북미 지역 합작법인 및 단독 공장 신·증설과 중국 원통형 생산라인 증설 등 신규 프로젝트에 따라 전체 투자 예상규모가 상승했다”며 “주요 거래선 신차 출시 효과, EV용 원통형 배터리를 포함한 주요제품 판매확대 등을 통해 매출 목표 달성 계획”이라고 전했다.
회사는 수익성, 제품경쟁력, 품질역량 강화 등도 추진한다. 수익성 개선을 위해 메탈 수급 및 원자재 가격 변동 상황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주 원재료 공급 업체들과 장기 공급 계약 및 전략적 지분투자를 확대한다.
판가 연동 메탈 범위도 기존 리튬, 니켈, 코발트에서 구리, 알루미늄, 망간 등까지 확대한다. 음극재, 전해액, 바인더, 분리막 등 비메탈 원재료도 가격 상승 요인을 판가에 반영한다. 또 글로벌 전 생산거점에 자동화·정보화·지능화 기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통한 원가 절감 및 제조 경쟁력도 강화한다.
근본 구조 개선을 통한 제품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파우치형 제품의 열 확산 억제 팩 솔루션 확보, 코발트 프리(Cobalt free) 등 신규 소재의 EV·ESS 제품개발로 안전 및 비용 개선 △원통형 제품의 경우 고용량 신규 폼팩터 제품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높인다.
품질 역량 강화를 위해 △제품 강건 설계 및 공법 개선 등 품질과제 중점 추진 △공정별 전수 검사 시스템 도입 △일원화된 완결형 품질 조직 체계 구축 △화재 원인 분석·추적 강화 및 인프라 투자 확대 등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 CEO 권영수 부회장은 “글로벌 경영 환경이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지만 제품 경쟁력 및 품질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