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문승욱 장관이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촉진을 위해 국내 청정수소의 생산활용 확대를 위해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여수산단로에 위치한 LG화학 본관동 9층 회의실에서 청정수소의 국내 생산 및 확대방안 논의와 관련 기업 애로사항을 청취 및 해소를 위한 기업인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문승욱 산업부 장관을 비롯한 수소경제정책관 및 수소산업과장과 △LG화학(수전해) △SK E&S(수전해) △두산퓨얼셀(수전해) △한화솔루션(수전해) △포스코(수소환원제철) △㈜덕양에너젠(정제·운송) △한국남부발전(수소발전) △한국에너지공단(정책지원) △전라남도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문승욱 장관은 인사말을 통해 “수소는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수단이자 미래 신성장동력”이라며 “기존 화석연료와 달리 우리 자본 기술로 생산할 수 있는 에너지 안보 자원”이라고 밝혔다.
이어 “생태계 조성 촉진을 위한 참석 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정부도 기술개발과 실증사업 등 수소법 개정에 따른 청정수소 인증제와 청정수소 구매 공급제도 도입 등 안정적 수요처를 확보하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이날 함께 자리한 기업인들은 △다양한 방식의 수전해 기술개발 △실증사업 및 해외 시장 진출에 대한 정부지원 확대 △실증사업 진행을 위한 수전해 장비 파열시험 기준 국내외 기준 조화 등 규제 합리화를 요청했다.
이에 정부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수전해 설비 등 신규 수소산업 분야 설비에 대한 규제 개선을 추진하며, 수소법 개정등을 통한 생산 활용 경제성 확보 지원제도를 마련해갈 계획이다.
한편, 이날 문승욱 장관은 간담회 참석 전 LG화학 VCM 공장을 방문해 클로르알카리 공정을 시찰하고, 이를 응용한 수소생산용 대용량 알칼라인 수전해 장치 개발 계획을 청취했다.
클로르알카리공정은 염소와 가성소다 생산 공정, 알칼라인 수전해와 구조적으로 동일해 기존기술 응용 전극 개발 등으로 사업확장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