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산학연 전문가들과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합성연료인 e-Fuel 보급을 위해 기술개발 및 워킹그룹 운영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자동차회관에서 재생합성연료 e-Fuel 6차 최종 연구회를 개최하며 이후 산업부 후속계획을 논의했다고 12일 밝혔다.
산업부는 지난 4월 발족식 이후부터 국내 산학연 전문가들과 e-Fuel 연구회를 발족, 국내외 정책 연구동향과 경제성, 국내 도입 시 과제 등을 정례적으로 논의해왔다.
우선, 산업부는 e-Fuel 보급을 위한 R&D, 워킹그룹 운영 등을 추진한다.
정부는 수송부문 탄소중립연료 워킹그룹을 구성해, △단계별 연료·대상차종 선정 △혼합비율 및 배출가스 측면의 엔진 적용성 검증 △연료 성능 표준 수립 등 e-Fuel 기술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이행 계획을 수립한다.
또 실증 R&D를 통해 정유공정 발생 CO2를 포집·활용하여 석유제품을 개발, 생산하고 품질기준 개발 등 상용화 전략을 세울 계획이다.
이어 민·군 협력 e-Fuel 실증사업을 추진해 급격한 전동화가 어려운 군용차량 및 함정 등에서도 e-Fuel 활용이 가능하도록 품질수준을 향상·검증하고, 향후 군 협의를 거쳐 시범 적용도 추진한다.
마지막으로 정책연구용역을 통해 무탄소 합성에너지원 관련 제도 수립방향, 기술개발 추진방안, 기업지원 방안 등 설정도 병행할 예정이다.
주영준 산업정책 실장은 “탄소중립연료 보급 활성화를 위해 세부 이행 계획을 마련하고 기술개발을 추진, 연구회 논의 결과 등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회는 ‘e-Fuel 연구보고서’를 발간, 주요 논의 결과를 정리해 e-Fuel 활용을 위한 정책적·기술적 과제를 제시했다.
연구회 측은 “우리나라는 수소·CO2 생산 및 합성 공정 등 원천기술은 확보 중이나 상용화 등 실증연구가 필요한 단계”라며 “경제성 확보가 핵심이며 수소, CO2 가격을 낮추는 CO2 흡착제 효율 향상, 합성 촉매 개발이 주요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기·수소차의 높은 차량 가격, 인프라 구축 비용 등 고려 시, 향후 e-Fuel도 전기·수소차 수준의 경제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