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세 명 중 두 명은 원자력 발전 비중을 현행과 같이 유지하거나 확대를 원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은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 만 18세 이상 국민 1091명을 대상으로 에너지전환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고 28일 밝혔다.
그 결과 화석연료(석탄, 천연가스 등)을 사용하는 화력발전 비중을 줄여야한다는 응답은 73.6%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해야한다는 의견은 53.5%를 차지했다.
하지만 원자력발전의 비중을 확대해야한다는 응답은 39.8%, 현행과 같이 유지해야한다는 응답은 26.6%로 에너지전환정책의 방향과는 다르게 원전비중을 유지 및 확대해야한다는 응답이 66.4%나 차지했다.
특히 만 18세 이상 20대 이하에서는 78.1%가 유지 및 확대해야한다고 응답해 세대별 응답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에너지전환정책 추진 속도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38.3%가 빠르다고 응답했고 적절하다는 응답은 28.8%, 느리다는 응답은 32.9%로 나타났다.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발전원별 외부효과로는 화력발전으로 인한 외부효과(온실가스, 미세먼지)가 50.2%를 차지 가장 응답이 많았으며 신재생에너지발전으로 인한 외부효과(자연환경 파괴, 불안정한 전력공급)는 28.5%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원자력발전으로 인한 외부효과(사고가능성, 폐기물발생) 21.3% 순으로 뒤를 이었다.
태양광 및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전기요금 인상안에 대한 응답은 63.4%가 반대한다고 응답했으며 찬성하는 의견은 36.6%를 차지했다.
전기요금 인상에 찬성하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달에 얼마의 전기요금을 추가로 낼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1000원~2000원까지라는 응답이 28.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이번 조사결과는 최근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배출이 없는 원자력발전에 대한 국민의식개선을 보여준다”며 “우리나라 현실을 감안해 원자력발전을 탄소감축수단으로 적극 고려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