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연료전지차와 수소충전소 확대로 수소산업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수소 충전가격을 낮추기 위해선 정부가 수소 생산비용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원장 조용성)은 지난 1일 ‘탄소중립 실현으로 가는 길’이라는 주제로 2020년도 연구성과 발표회를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발표회는 △탄소중립 실현으로 가는 길 △포용적·안정적 에너지전환 방안 △청정에너지시스템 구축 기반 조성 등 총 3대 세션으로 구성돼 6건의 주요 연구성과와 이에 대한 전문가 토론이 이어졌다.
현재 정부 주도로 수소경제 이행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선 다른 연료대비 저렴한 수소가격 책정이 필요하다. ‘청정에너지시스템 구축 기반 조성’ 세션에서 김재경 가스정책연구팀 연구위원은 ‘시장주도형 수소경제 조기정착을 위한 전략 연구’ 발표를 통해 “수소 소매가격 인하를 위해선 수소 공급가격 인하가 필수적이며 이는 생산비용과 이송비용을 어떻게 전략적으로 인하할 것인가에 달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김 위원은 수소 생산비용에 초점을 맞춰 ‘수소 균등화 생산원가(LCOH)’ 개념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천연가스 추출방식의 수소원가는 2020년 1,841~4,409원/kg에서 수송용 도시가스 요금상승으로 인해 2030년 2,132~4,723원/kg으로, 2040년에는 2,210~4,807원/kg으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원가는 2020년 1만1,895원/kg에서 2030년 10,042원/kg, 2040년 9,552원/kg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수소 생산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가격을 90% 보조할 경우엔 2030년 2,510원/kg, 2040년 2,761원/kg으로 오히려 천연가스 추출방식보다 저렴해진다.
천연가스 추출수소와 원가 경쟁하려면 수전해에 필요한 재생에너지를 무상 수준으로 조달해야 한다는 결론이다. 또한 수전해 수소생산의 규모의 경제를 위해 100MW급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을 개발해야한다고 제언했다.
김 위원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우선적으로 수소생산용 천연가스 제세공과금의 한시적 인하와 제3자 전력구매계약(PPA) 지원을 위한 수전해 전용 재생에너지 전기요금 체계 신설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수소차 충전용 수소생산에 투입되는 천연가스에 대해 조건부 면세 혜택을 부여하고 정부 차원에서 수전해 전용 재생에너지 전기요금의 기준가격 공시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박진남 경일대 교수는 논평을 통해 “수소 소비자를 우대하기 위해 수소 가격을 너무 낮춘다면 수소충전사업자에게 부담이 가중돼 장기적인 수소경제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원두환 부산대 교수는 “수소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성 제고 방안 도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수소발전 의무화제도(HPS)의 의무대상이 누구로 지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화제도(RPS)의 의무 대상과 동일하게 지정되면 이중부담이 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질문에 대해 김재경 연구위원은 “HPS와 RPS가 이중부담이 되지 않도록 설계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