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시민의 숙원사업으로 유치된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을 두고 일부 환경단체들이 환경·경제성 문제 등을 이유로 반대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하는 사실이 크게 왜곡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석탄을 넘어서’ 등 환경단체는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근거로 △발전소 건설로 인한 삼척 맹방해변 침식 가속화 △발전소 완공시 이용율 저하에 따른 경제성 문제 △자산운용사들의 발전소 회사채 인수 거부로 인한 회사채 발행 무산 등을 들고 있다.
이에 대해 삼척화력발전소 운영권을 가지고 있는 삼척블루파워는 이러한 사실이 왜곡돼 있어 근거가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맹방해변 침식문제의 경우 2010년부터 언론에서 주목하고 다뤄온 문제로 맹방해변을 포함한 동해안의 많은 지역이 2000년 이후 해안도로 건설 등으로 인해 빠르게 침식이 진행됐다. 삼척화력발전소는 2013년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되고, 2018년 8월에 착공에 들어갔기 때문에 침식의 원인이 아니며 오히려 삼척블루파워는 1,500억원을 투자해 맹방해변 침식 방지를 위한 국내 최초 및 최대규모의 침식저감시설을 건설 중이다. 또한 해안 침식저감시설을 활용한 사업을 통해 삼척 주민들의 소득이 증대될 수 있도록 삼척시와 사업내용을 협의 중에 있다.
환경단체가 삼척화력발전 이용율이 2030년 50%, 2040년에는 20%대에 불과해 경제성이 없다는 주장에 대해 삼척블루파워는 석탄발전과 같이 24시간 가동하며 전력을 생산 및 공급하는 기저발전은 국가 에너지 안보,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통제불가능에 대한 보완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설비 유지와 이용율 등이 결정되기 때문에 향후 이용율이 하락하거나 높아질 것이라 예상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오히려 최근 미국 텍사스에서 한파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정전 사태와 에너지망을 타국과 공유하기 어려운 국내 여건 상 신재생, LNG, 석탄, 원전 등 발전원별 에너지믹스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원전과 석탄의 축소 기조는 유지됐지만 신서천 1호기와 고성하이 1·2호기, 강릉안인 1·2호기, 삼척화력 1·2호기 등 현재 건설 중인 석탄발전기 7기가 반영된 것도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한 차원이다.
환경오염 배출 우려와 관련해서는 삼척화력발전은 최신예 초초임계압(USC) 설비를 도입해 미세먼지가 기존 발전설비 대비 73% 이상 감소되며, 발전효율이 높아 온실가스 배출 역시 상당히 줄어들기 때문에 노후화된 석탄발전기를 조기 폐지하고 신규 발전설비를 가동하는 것이 환경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삼척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자금문제의 경우 프로젝트 자금 조달을 계획하던 사업초기 금융사와 총액인수확약 및 한도대출 약정 등을 통해 회사채 발행, 차입금액을 사전 협의했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