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그린뉴딜 정책에 따른 전기차 및 ESS(에너지저장시스템) 시장 확대에 발맞춰 배터리 증설에 5조원을 투자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까지 미국에만 70GWh 이상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추가 확보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5조원 이상을 투자하고, GM과의 합작법인도 1공장에 이어 상반기중에 2공장 투자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현지에 올해 상반기까지 최소 2곳 이상의 후보지를 선정하기로 했다.이후 사업적합성 검토 및 이사회의결 등을 신속하게 거쳐 본격적인 투자를 집행할 방침이다.
이번 투자가 이뤄지면 LG에너지솔루션의 미국내 생산캐파는 기존 미시간 공장(5GWh)과 함께총 75GWh으로 늘어난다. 이번 증설은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미국의 전기차 시장 대응을 위해 현지 생산을 검토하고 있으며, LG에너지솔루션과도 협력을 논의하고 있어 한발 빠른 배터리 생산능력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또한, 미국 ESS업체와 스타트업 전기차 업체들 대상의 수주물량도 이미 크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은 협력업체 동반진출 및 현지화를 적극 추진하고, R&D부터 제품개발 및 생산 뿐만아니라 원재료 조달에 이르기까지 미국내에서 차별화된 안정적 공급망 체계(Supply Chain)를 갖추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미국에 건설할 신규공장은 모두 100% 신재생에너지로만 운영된다.
특히 전기차 및 ESS용 파우치 배터리 뿐만아니라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전기차용 원통형배터리 분야도 신규 진출한다. 해당 제품들의 대량생산경험과 기술력을 갖춘 배터리기업은 LG에너지솔루션이 유일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투자계획을 통해 미국 시장에서의 배터리 공급 우려를 불식시켜 글로벌 자동차 업체 및 ESS업체들과의 미국 관련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함께 LG에너지솔루션은 GM과의 합작법인 추가투자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는 현재 내년 가동을 목표로 오하이오주에 35GWh 규모의 1공장을 건설 중이다.
양사는 상반기내 2번째 공장에 대한 구체적인 투자 규모와 부지를 확정할 예정이다. 해당공장은 오하이오주에 있는 1공장과 비슷한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이며, 2023년 이후부터차세대 첨단기술이 적용된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번투자는 GM의 미래차 전기차 프로젝트의 안정적인 배터리 공급을 위해 이뤄졌다. GM은 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최대 40%까지 늘릴계획으로 30여개의 글로벌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이중 20여개의 모델을 북미에서도 판매할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독자 증설과 GM 합작법인과의 증설이 완료되면 미국에서만 총 140GWh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사장은 “미국의 그린뉴딜 정책은 전기차 시장은 물론 ESS시장의 성장을 한층 가속화 할 것”이라며 “배터리 생산능력을 선제 확보하고, R&D부터 생산에 이르기까지 현지화 된 안정적인 공급망 체계를 구축해 미국 전기차 및 ESS 시장에서 최고의 파트너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은 바이든 대통령 당선 후 그린뉴딜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50년 탄소중립 추진을 위해 그린에너지분야에만 4년간 2조달러를 투자한다. 정부 관용차 300만대를 전기차로 교체하고, 지자체의 전기스쿨버스 50만대 구매 정책을 도입한다. 또한 ‘Buy America’라는 리쇼어링정책을 통해 미국산이 아닌 전기차를 미국에 판매할 경우 10%의 징벌세를 부과한다. 미국산 전기차의 필수조건은 배터리 셀 현지생산이다.
또한 최근 텍사스 지역 등의 한파 영향으로 북미지역에서의 ESS 사용이 빠르게 확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