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외적으로 기존 에너지 수급 체계를 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발전원으로 바꾸는 대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신산업과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3월17일과 18일 양일간 ‘The Energy Conversion Seminar 2021 -New Business A to Z-”를 온라인과 오프라인 동시 개최한다고 밝혔다.
3월17일 세미나에서는 △에너지 대전환 시대- 국내외 에너지 전력산업 트랜드 및 변화의 실체와 대응전략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혁신과 신사업 모델 및 사례 △2021년 한국형 RE100 거래는 어떻게 하는가? △2021년 RPS 및 RE100 도입에 따른 시장변화와 거래시장 비교분석 △에너지 대전환 시대- 탄소배출권 거래 신사업과 서비스 모델 및 사례 △에너지 대전환 시대- ESG 경영을 위한 관리시스템과 신사업 전략 수립방안 △에너지 대전환 시대- IoT·빅데이터·AI 기반의 기술혁신과 에너지 신사업 모델 및 사례 △에너지 대전환 시대- 에너지 디지털 전환과 배전망 기술혁신과 신사업 서비스 모델 및 사례 △에너지 대전환 시대- 블록체인 기반의 기술혁신과 신사업 모델 및 사례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18일 세미나에서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부의 에너지 기술개발 및 기술혁신 R&D 추진방향(로드맵) △에너지 대전환 시대- 전력 신산업 현황, 정책방향과 전력중개시장 개설방안 및 지원방안 △소규모 분산자원(Longtail) 중심의 플랫폼 경제 구축사례 △에너지 대전환 시대- 전기차 충전시스템 기술혁신과 신사업 서비스 모델 및 운영사례 △소규모 분산자원 전력중개사업 이론과 실제 및 사업화 전략 △중개거래를 위한 거래시스템(플랫폼) 구축방안 △에너지 대전환 시대- ESS+신재생에너지를 충전시스템에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분산전원 전기차 충전시스템 기술혁신과 신사업 서비스 모델 및 실증사례 △에너지 대전환 시대- 전기차 배터리 리스(대여)/교환 및 중고ㆍ폐배터리 재사용 등 BaaS(Battery as a Service) 신사업 사업모델 및 운영사례 △에너지 대전환 시대- 대용량 전기상용차(버스,트럭) 충전시스템 기술혁신과 신사업 서비스 모델 및 운영사례 등의 주제가 이어서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하여 에너지 대전환 시대에서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가 무엇인지와 다양한 신사업 수익모델 창출을 모색하고 에너지 혁신에 따른 패러다임 변화를 제시하여 신시장 개척에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