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중대형 이차전지 소재부품 중소·중견기업의 제품 상용화를 돕기 위한 시험제조라인을 구축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23년까지 총 240억원(국비 98억원, 지방비 142억원)을 투입해 ‘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를 구축한다고 3일 밝혔다.
국내에는 휴대전화 등에 쓰이는 소형 전지를 위한 시험평가 인프라 만 있을 뿐, 전기차·ESS등에 쓰이는 중대형 전지 테스트를 위한 전문적 제조·평가 인프라가 매우 부족하다. 이에 새로 개발된 소재로 배터리를 만들었을 때 최종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전지생산업체에 의뢰해야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축되는 이차전지 시험평가센터에서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개발한 이차전지 핵심 소재와 주요 부품에 대한 분석 뿐 아니라 실제 전기차에 사용되는 수준(50Ah급)의 중대형 배터리 셀로 제작하여 셀 성능 평가까지 받아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피드백, 오류분석 등 컨설팅 서비스와 셀 제조라인 및 시험평가 장비 등을 활용한 실습 플랫폼을 운영하는 등 이차전지 전문인력양성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으로 소재부품 중소·중견기업들은 성능평가 비용과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전지 제조사들은 셀 제조라인을 본래 목적인 배터리 생산에 집중해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소재부품에 대한 신뢰성 있는 평가 결과를 받아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소재를 여러 버전으로 개발하더라도 평가 기간과 비용 문제로 모두 테스트해보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면서 “개발한 소재를 실제 배터리로 제작하여 시험해볼 수 있어 배터리 제조업체 납품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차전지가 새로운 주력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소재부품 기초기술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소재부품 개발기업 뿐 아니라 배터리 제조 기업의 수요까지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필요한 장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 수행은 주관기관은 대학, 연구기관, 사업자단체 등 비영리기관을 대상으로 하며 2월4일부터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기술평가관리원(itech.keit.re.kr)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문을 게재되고, 3월5일까지 사업신청을 받아 3월 중 사업수행자가 최종 선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