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국가산업단지 일원이 가스터빈 국산화 등 가스복합발전 육성 거점으로 거듭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19일 에너지위원회(위원장 산업부장관)의 심의를 거쳐 경남, 경북, 부산/울산, 충북 등 4개 지역을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추가 지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정부는 에너지 융복합단지를 에너지신산업 육성 및 그린 뉴딜 확산 거점으로 만들기 위해, 융복합단지에 입주한 에너지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융복합단지에 대한 실효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반기 중 ‘에너지 융복합단지법’ 개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개정이 완료되면 입주 기업들에게는 지방세 감면, 산업부 R&D 가점 부여, 지역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등 지원 혜택이 주어진다.
또한 정부는 지자체와 협력해 중점산업 육성에 필요한 R&D·실증 사업을 발굴하고, ‘지역 에너지시책’과 중점산업 육성방안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융복합단지의 내실있는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에 에너지 융복합단지로 지정된 지역을 살펴보면 경남 지역은 창원국가산업단지 일원 (28.066㎢)에서 한국형 가스복합발전 개발 및 조기 사업화를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이 추진된다. 이의 일환으로 가스터빈 국산화 등 기술경쟁력 확보와 가스복합발전 산업으로 산업생태계 전환이 추진될 계획이다.
경북 융복합단지는 영덕군 영덕읍·축산면, 포항시 지곡동 일원(10.47㎢)에서 지자체주도 풍력단지 조성을 통한 국내풍력산업 육성이 추진된다. 영덕에는 신재생에너지산업단지, 풍력리파워링발전단지, 해상풍력발전단지 등이 조성 중이다.
부산·울산 융복합단지는 부산, 울산 일원(20.03㎢)에서 세계최고의 원자력(원전해체산업) 선도도시 구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충북 혁신도시 중심 반경 20㎢ 이내에 조성되는 충북 융복합단지는 충북을 태양광 기반 ESS, 스마트그리드 등 에너지 융복합 안전산업 거점으로 육성될 전망이다. 이곳에는 진천 에너지융복합단지, 음성RE100스마트산단, 진천복합산업단지 등이 조성돼 관련 기업 및 기관이 유치될 예정이다.
성윤모 장관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융복합단지는 지역이 주도하는 그린 뉴딜의 대표적인 사례”라며 “지역의 에너지 인프라를 기반으로 우수한 기업, 연구소를 유치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