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20-02-07 17:36:18
기사수정


▲ 국제 원유가격 추이(단위 : 달러/배럴)

1월30일부터 2월6일까지의 국제유가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중국 정유사의 정제 처리량이 감소하는 등 원유 재고가 증가하며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동향팀은 7일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을 통해 ‘2020년 2월 1주 주간 국제유가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서양 유종인 브렌트(Brent)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3.36달러 하락한 54.93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주대비 배럴당 1.19달러 하락한 50.95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유종인 두바이(Dubai)유는 전주대비 배럴당 2.58달러 하락한 55.18달러를 기록했고, 오만(Oman)유는 전주대비 3.08달러 하락한 55.21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에 따르면 1월 5주 기준 미국 원유 재고는 전주대비 335만5,000배럴 증가한 4억3,500만배럴을 기록했으며, 쿠싱지역 원유 재고 역시 전주대비 106만8,000배럴 증가했다.


반면 제품재고는 전주대비 424만6,000배럴 감소했다.


로이터(Reuters) 등에 따르면 바이러스에 따른 수요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시노펙(Sinopec)사는 이달 정제처리량을 약 12%(일 60만배럴) 낮췄고, CNOOC사 또한 Guangdong지방 정제시설의 처리량을 8% 낮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상동(Shandong)지방 독립계 정유사들은 그들의 생산용량 대비 30∼50% 낮은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


4일 러시아 에너지장관은 현 시점에 추가 감산이 필요한지 확신할 수 없다고 발언한 데 이어 6일에도 바이러스 영향 평가할 추가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6일 러시아 외무장관은 푸틴 대통령은 사우디와 최근 바이러스 영향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히며 OPEC+ 공동감산기술위원회(JTC)의 추가 감산 권고를 지지하고 시장에 최적의 조치를 찾기 위해 협의 중이라 밝혔다.


영국은 당초 2040년 휘발유 및 디젤차 판매 금지 계획(하이브리드차 제외)을 2035년으로 앞당기며 하이브리드차도 대상에 포함한다고 발표했으며, 가능하다면 시기를 더욱 앞당기는 것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JTC는 일일 60만배럴 추가 감산을 권장했고 러시아는 바이러스 영향을 평가할 추가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쳤으며, 총회의 조기 개최 여부는 아직 결정 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9월25일 이란과 거래 혐의로 Cosco사 자회사 2곳 등을 제재 대상에 포함한 바 있으며 1월31일 이 중 COSCO Shipping Tanker(Dalian)에 대한 제재를 해제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5일, 이란이 지난달 핵 합의에서 정한 제한사항들을 더 이상 지키기 않겠다고 밝힌 이후 핵 합의를 위반하는 추가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IAEA 사무총장은 4일 미 국무부 장관과 이란 핵 프로그램에 관해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비아 UN 특사는 5일 동부군벌 Haftar사령관과 연합한 부족 지도자들과 회의를 갖고 요구조건을 명확히 해줄 것을 요청했으며 6일까지 석유 터미널 봉쇄를 해제할 요구조건 목록을 제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발언했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과 이에 따른 중국정부의 기업 활동 재개 기한 연기 등의 조처로 시장 전문가들은 중국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했다.


ANZ는 연평균 5.8% 유지했지만 1분기는 5.9%에서 5.0%로 하향했고, Citi는 연평균 5.8%에서 5.5%로 하향조정했다. Economist Intelligence Unit은 연평균 5.9%에서 4.9-5.4%로 하향조정했고, UBS는 연평균 6.0%에서 5.5%로 하향조정했다.


4일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바이러스로 인해 미국에 1단계 무역 합의의 탄력적 이행을 요청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은 바이러스로 대중 수출 증가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따른 미국 경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며, 오히려 미국 내 설비 투자 등을 자극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반면에 6일 미국 재무장관은 바이러스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2년간 약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상품 및 서비스 구매를 증대하겠다는 1단계 무역합의 사항을 이행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국은 미국이 1,2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율을 절반 인하한 것에 맞춰 14일부터 750억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부과했던 관세율을 절반으로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1월30일∼2월6일 싱가포르 석유제품은 휘발유와 등유, 경유 모두 하락했다.


휘발유는 배럴당 0.27달러 하락한 63.04달러, 등유는 배럴당 1.35달러 하락한 65.33달러를 기록했다. 경유는 배럴당 0.14달러 하락한 68.23달러를 기록했다.


2월5일 기준 싱가포르 경질제품 재고는 46만8,000배럴 증가한 1,352만4,000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은 52만3,000배럴 감소한 1,068만9,000배럴을 기록했다. 중질제품은 187만배럴 감소한 2,168만5,000배럴을 기록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4139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3D컨트롤즈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