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일본 수출규제로 인해 마련한 100대 핵심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R&D)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100대 핵심품목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사업을 31일 통합공고 했다.
이번에 공고된 사업은 총 3,300억원 규모로 공급망 안정화의 핵심 소재부품 기술개발 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소재부품기술개발(2,718억원)과 정밀가공장비, 기계요소부품 기술개발 및 실증을 위한 기계산업핵심기술개발(578억원)로 추진되며 약 1,000여개 기업이 참여할 예정이다.
주요지원 분야는 △반도체·디스플레이 315억원 △기계·장비 546억원 △금속 649억원 △기초화학 634억원 △섬유탄소 423억원 등이다.
이번 R&D의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국내 제조업 생태계 내에서 확산중인 수요·공급기업 간 협업분위기를 더욱 촉진하기 위해 수요·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형태로 추진된다. 또한 산업의 특성과 조기기술개발의 필요성을 고려해 다양한 방식의 R&D가 필요한 경우 경쟁형, 복수형 과제도 지원된다.
또한 산업부는 유연한 기술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기술개발 인센티브강화 △정책지정, 경쟁형, 복수형 R&D 도입 △행정부담 완화 등 R&D 관련 규정 개정을 완료한 바 있다.
이밖에도 모든 기술개발 과제에 대해 산업부-특허청 공동으로 약 150억원을 투입해 IP-R&D도 지원한다.
이번 R&D 사업은 2월 공고 후 선정과정(3월)을 거쳐 본격 추진된다.
또한 100대 핵심품목과 더불어 미래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3D프린팅용 합금분말, 이차전지 관련 신소재 등 신산업분야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도 지원된다.
산업부는 기술개발이 생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15개 공공연구기관에 약 1,400억원을 투입하여 100대 품목에 대한 테스트베드(Test-bed)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R&D 관리를 넘어 투자, M&A 등도 다각적으로 지원하고 수요공급기업간 협업을 통해 협력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추진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