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테마 지원 과제 15개를 선정하고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 로봇, 헬스케어 분야 연구 지원에 나선다.
삼성전자는 9일 2019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테마 연구지원 과제 15개를 선정해 발표했다.
올해는 △혁신적인(Disruptive) 반도체 소재 및 소자·공정 기술 △차세대 디스플레이 △컨슈머(Consumer) 로봇 △진단 및 헬스케어 솔루션 등 4개 분야에서 총 15개 과제를 선정했다.
반도체 산업의 획기적인 기술 향상을 이끌 기술을 공모한 ‘혁신적인 반도체 소재 및 소자·공정 기술’ 분야에서는 △이온 이동을 이용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명지대학교 윤태식 교수)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100층 이상 집적하기 위한 신규 소재(한양대학교 송윤흡 교수) △다이아몬드 이용한 차세대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중앙대학교 이형순 교수) 등 반도체 소자 구조와 소재를 획기적으로 차별화할 수 있는 과제 6개가 선정됐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올 연구과제들을 선정했다. △OLED 청색 발광 소재의 효율 한계 극복(홍익대학교 김태경 교수) △홀로그램용 공간 변조 기술 연구(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김휘 교수) △나노와이어 기반 마이크로 LED 연구(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김재균 교수) 등 5개 과제가 선정됐다.
‘컨슈머 로봇’ 분야에서는 △로봇 피부에서 압력, 온도, 거리, 진동 등을 감지하는 말초신경계 광섬유센서 개발(부산대학교 김창석 교수) 등 2개 연구과제가 선정됐다.
‘진단 및 헬스케어 솔루션’ 분야에서는 △미세먼지를 크기와 종류별로 구별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술(KIST 유용상 교수) 등 2개 과제가 선정됐다.
한편 삼성전자는 2013년 국가 미래 과학기술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10년간 1조5,000억원을 출연하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시작했다.
기초과학, 소재, ICT 분야의 ‘자유공모 지원과제’는 매년 상, 하반기에 한차례씩 선정하며, ‘지정테마 지원과제’는 연 1회 선정한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