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 폰이 본격 상용화 되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소재인 ‘폴리이미드(PI:Polyimide) 필름’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청장 박원주)에 따르면, PI 필름 관련 분야 특허 출원은 2014년 60건에 불과했으나, 최근 2년간(2017~18년) 연평균 약 37% 증가하면서 2018년에는 150건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최근 삼성전자, LG전자, 애플 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폴더블(foldable) 스마트폰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접히는 유리’로 불리는 ‘폴리이미드(PI : Polyimide) 필름’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폴더블 폰은 말 그대로 접히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trategy Analytics)에 따르면, 폴더블 폰의 수요가 2019년 320만대에서 2022년 5,010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폴더블 폰은 접었다 펴야하는 특성상 커버윈도우, TFT 기판, 베이스 필름 모두에 새로운 소재가 필요하다. 투명 PI 필름은 타 소재 대비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및 화학적 물성을 지녔기 때문에 유리의 대체재로 불리운다. 특히 수십만 번을 접었다가 펴도 흠집이 나지 않고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노트북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PI필름 특허 출원인의 유형을 보면, 국내기업 출원이 전체의 60.9%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일본기업에 의한 출원이 25.3%를 차지하고 있다.
적용대상별로 살펴보면, 디스플레이 커버윈도우 용도가 116건(24.9%), 박막 필름 트랜지스터(TFT) 기판/베이스 필름 용도가 276건(59.2%)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커버윈도우의 경우, 폴더블 폰의 개발과 발맞춰 2016년 이후 출원이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시장의 주도권 잡기 위해 핵심특허 확보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특허청 반용병 정밀화학심사과장은 “폴더블(Foldable), 롤러블(Rollable), 스트레쳐블(Stretchable) 등으로 빠르게 진화해 나가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의 흐름을 고려할 때, PI필름에 대한 수요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시장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 기업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므로 선제적인 소재분야 핵심특허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