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4-01 09:57:12
기사수정


▲ 국제 원유가격 추이(단위 : 달러/배럴)

3월21일부터 3월28일까지의 국제 유가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OPEC 공급 증대 요구 및 리비아 주요 유전 생산량 회복 등 원유 생산 및 재고 증가로 인해 전품목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동향팀은 29일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을 통해 ‘2019년 3월 4주 주간 국제유가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서양 유종인 브렌트(Brent)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0.04달러 하락한 67.82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주보다 배럴당 0.68달러 하락한 59.30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유종인 두바이(Dubai)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1.67달러 하락한 66.56달러를 기록했고, 오만(Oman)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1.65달러 하락한 66.57달러를 기록했다.


3월28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유가가 지나치게 높은 수준이며 OPEC에 원유 공급량을 늘릴 것을 요구했다.


미국 주간 원유생산량은 3월 1주 일일 1,200만배럴에서 일일 10만배럴 증가한 이후 일일 1,210만배럴을 2주 연속 유지했다.


다만 3월 3주 미국 원유 시추기 수는 전주대비 9기 감소한 824기를 기록하여 5주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다.


3월 3주 미국 원유재고는 전주대비 280만배럴 증가한 4억4,200만배럴을 기록했으며, 특히 US Gulf Coast에서 원유재고가 458만배럴 증가했다.


이는 원유수입이 전주대비 일일 39만2,000배럴 감소했으나, 수출이 전주대비 일일 50만6,000배럴 감소한 점과 정제투입이 전주대비 일일 36만7,000배럴(정제가동률 .2.3%p) 감소한 데에 기인한다.


3월 3주 미국 석유제품재고는 정제가동률 하락 영향으로 전주대비 273만9,000배럴 감소한 7억8,000만배럴을 기록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러시아의 3월 1∼26일 평균 석유생산량은 일일 1,130만배럴로 2월 일일 1,134만배럴 대비 감소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리비아에서 작년 12월 무장단체 점거로 인해 생산 중단 후 3월4일 생산을 재개한 El Sharara 유전에서 최근 일일 26만배럴 생산하는 등 생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베네수엘라에서는 3월25일 대규모 정전사태가 재발했으며 이로 인해 초중질 원유 생산 지역인 Orinoco지역의 개질시설(upgrader) 4개 가동 중단 및 주요 수출항인 Jose항의 운영이 중단됐다.


30일 베네수엘라 국회의장 Guaido는 3월에 발생한 두 차례의 대규모 정전에 대해 정부에 항의하는 거리 집회를 개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베네수엘라 내 정정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미국은 1월28일 베네수엘라 국영석유회사 PDVSA사에 제재를 부과했으며, EIA에 따르면 작년 12월 베네수엘라로부터 약 일일 50만배럴을 수입했다.


3월22일 미국 국채 3개월물(2.4424%)과 10년물(2.439%) 금리 간 역전혁상이 나타나자 이를 시장에서 경기 불황 신호로 해석하면서 우려감이 고조되고 있다.


28∼29일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협약 이행을 강제하기 위해 당분간 관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발언하는 등 협상 타결이 지연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3월28일 기준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미국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미 달러화 인덱스가 전주대비 약 0.73% 상승해 97.20을 기록하고 있다.


사우디 재정균형유가는 80∼85달러/bbl(Brent)이나 이를 달성하기 쉽지 않아 차선책으로 최소 70달러/bbl 내외로 유가를 끌어올릴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3월21일∼3월28일 싱가포르 석유제품은 휘발유와 등유, 경우 모두 하락했다.


휘발유는 배럴당 1.71달러 하락한 73.92달러, 등유는 배럴당 1.62달러 하락한 79.42달러를 기록했다. 경유는 배럴당 2.02달러 하락한 80.06달러를 기록했다.


3월20일 기준 싱가포르 경질제품 재고는 19만6,000배럴 증가한 1,670만8,000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은 119만배럴 감소한 1,086만5,000배럴을 기록했다. 중질제품은 179만1,000배럴 증가한 2,038만8,000배럴을 기록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3903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3D컨트롤즈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