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중소벤처기업들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스마트 공장 구축을 원하고 있으나 투자금과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이사장 이상직)이 지난 2월7일 13일까지 제조현장스마트화자금을 지원받은 기업 290개사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스마트공장 또는 스마트 생산설비 확대 계획에 84.4%가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스마트 생산설비 도입의 기대효과로 응답자의 31.1%가 생산성 향상을 꼽았고, △기업의 혁신능력강화(26.4%) △고객중심의 소품종 대량생산 가능(20.7%) △글로벌 수준과 기술·품질격차 해소(20.1%) 순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응답한 기업의 평균 매출액을 분석해본 결과 2017년 128억원에서 2018년 139억원으로 8.6% 상승해 스마트 생산설비 구축이 중소벤처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으로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마트공장 도입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은 ‘시설투자 비용 부담(77.8%)’과 ‘전문 인력 부족(13.0%)’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공장 핵심기술 관련 규제개선이 가장 시급한 분야에 대해서는 에너지절감 기술(27.0%)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빅데이터 기술(21.7%) △스마트센서 기술(21.7%) △사물인터넷 기술(15.7%) △클라우드 기술(6.1%) 순으로 규제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해당분야의 규제 개선이 필요한 사유로는 △초기 시장이지만 급속한 시장 확대가 예상(35.1%) △타 산업으로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큼(21.1%) △스마트공장 도입 시 행정절차 부담(16.7%) 등 의견이 조사됐다.
이상직 중진공 이사장은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화를 위해 제조현장스마트화자금을 지난해 3,300억원에서 올해 5,000억원으로 확대했다”며, “스마트공장배움터를 고도화하고, 호남과 영남에 스마트공장배움터를 추가 설치해 스마트공장 전문인력 8,000명을 양성하는 등 스마트공장 관련 지원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