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3-13 16:53:35
  • 수정 2019-03-13 17:06:15
기사수정

서울시가 2022년까지 15천억원을 투입해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설치하고 스마트시티로 발돋움한다.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이 13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스마트시티 좌담회를 열고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2022년까지 총 14천억원을 투자해 행정 데이터에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같은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결합함으로써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서울 전역에 5만개의 IoT(사물인터넷) 센서를 설치해 도시현상(미세먼지, 소음, 바람, 야간 빛 세기 등)과 시민행동(유동인구, 차량이동 등)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데이터와 기존 시가 보유 중인 행정데이터를 한 곳에서 저장·분석·활용하는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가 연내 구축된다.


교통 분야에서는 IoT 센서가 주차차량 유무를 실시간 파악해 시민들이 스마트폰 앱으로 주차 가능한 위치 확인부터 예약, 길 안내, 요금 결제까지 원스톱으로 끝내는 공유주차 시스템이 연내 도입된다. 택시 승하차 이력 데이터와 기상, 인구통계, 상권, 대중교통 정보 등 택시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모두 더해 실시간 택시수요를 예측하는 시스템도 서울 전체로 확대된다. 시내버스에 지난해 270대의 공공 와이파이가 시범 설치된 데 이어 내년까지 총 7,405대인 전체 버스에 설치된다. 지하철은 현재 대비 120배 빠른 속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가 고도화된다.


노인복지시설 등 인프라 설치를 할 때도 유동인구 데이터를 분석해 수요가 있는 곳에 확충시킬 계획이다. 도시계획을 수립하거나 새로 건물을 지을 때 기존 도시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3D 기반 버추얼 서울2021년까지 구축된다.


인공지능(AI) 기술로 시민 질문에 자동으로 답변하는 챗봇기능이 올해 120다산콜에 시범 적용되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영상을 분석해 싸움, 방화 같은 특정상황을 자동 탐지하는 방범용 지능형 CCTV’2021년까지 총 17,820대가 새로 도입된다.


홀몸 어르신 가정의 TV, 전기밥솥 등의 전력 사용량을 IoT 플러그로 감지해 일정 시간 동안 변동이 없을 경우 사회복지사에게 방문요청이 전송되는 실시간 돌봄 서비스가 올해 1,000가구를 대상으로 운영되며, 2022년까지 4,000가구로 확대된다.


나아가 금융, 유통, 포털, 통신 등 민간 빅데이터와도 융·복합해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기업-시민이 참여하는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2020년까지 구축된다. 혁신기술은 있지만 상용화·사업화 실적이 없어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에게 서울시가 테스트베드가 되어 기술·서비스의 실증을 지원하는 혁신기술 공공 테스트베드 제공사업2022년까지 455억원 규모로 추진된다. 스마트시티 관련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스마트시티 펀드2022년까지 2,5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사물인터넷 분야 기업 지원기관인 서울 IoT 센터의 기능이 확대돼 스마트시티 센터9월 새단장하고 연간 300개 기업을 선정해 사업비, 시제품 제작, 해외홍보 마케팅 등을 집중 지원한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는 시민 일상 한 가운데에 있는 도시행정, 교통, 안전, 환경, 복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통해서 세계 전자정부 1위 위상을 넘어 가장 앞서나가는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3889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3D컨트롤즈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