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02-25 17:42:04
기사수정


▲ 국제 원유가격 추이(단위 : 달러/배럴)

2월14일부터 2월21일까지의 국제 유가는 사우디 해상유전의 일부 폐쇄 및 리비아 주요 유전 생산차질 지속 등으로 전품목 상승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동향팀은 22일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을 통해 ‘2019년 2월 3주 주간 국제유가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서양 유종인 브렌트(Brent)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2.5달러 상승한 67.07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주보다 배럴당 2.55달러 상승한 56.96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유종인 두바이(Dubai)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1.80달러 상승한 67.12달러를 기록했고, 오만(Oman)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1.60달러 상승한 67.16달러를 기록했다.


리비아 주요 유전인 El Sharara 지대의 무장세력 점거로 작년 12월9일부터 생산이 중단된 상태이며, 리비아 국영석유회사(NOC)는 해당 유전의 안전 확인 후 생산 재개 계획을 재확인했다.


Kpler 통계에 따르면 2월 상반기 사우디 원유 수출은 약 일일 620만배럴로 전월대비 일일 130만배럴 감소했다.


15일 Energy Intelligence사는 사우디의 Safaniyah(약 일일 100만배럴) 해상 유전 일부가 폐쇄돼 약 일일 30만배럴의 생산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 Khalid al-Falih는 현재 감산이행률이 준수한 편이지만, 100% 달성을 위해 OPEC+의 감산이행노력이 필요하며 차기 총회가 예정된 4월에 석유시장 수급 균형을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나이지리아 대통령 Muhammadu Buhari는 사우디의 감산 합의 이행 촉구에 기꺼이 감산에 협조할 것임을 표명했다.


OPEC의 2월 월간보고서에 따르면, 나이지리아는 일일 5.3만배럴 감산할당량에도 불구하고, 1월 일일 179.2만배럴를 생산해 작년 10월 일일 173.8만배럴 대비 일일 5.4만배럴 생산이 증가했다.


미국 주요 7대 셰일분지의 3월 생산이 2월대비 일일 8.4만배럴 증가한 일일 840만배럴를 기록 할 전망이다.


2월 2주 미 원유 생산량은 전주대비 일일 10만배럴 증가한 일일 1,200만배럴를 기록했으며, 원유 재고 또한 전주대비 367.2만배럴 증가한 4.55억배럴을 기록했다.


미국 오클라호마주 쿠싱지역 원유 재고도 전주대비 341.3만 배럴 증가한 0.45억 배럴을 기록했다.


19일 러시아의 Putin대통령과 사우디 Abdulaziz국왕은 에너지 시장 공조를 지속해 나가기로 합의했으며, 시장은 이를 러시아의 적극적인 감산 이행의지 표명으로 해석했다.


19일 미-중 차관급 실무회담, 21∼22일 류허 중국 부총리 참석 고위급 회담이 재개되며, 6개 핵심쟁점을 다룬 MOU 초안 작성이 시작됐다는 보도로 협상타결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2월21일 기준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미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미 달러화 인덱스가 전주대비 약 0.38% 하락해 96.61을 기록했다.


중국 자동차제조협회에 따르면 1월 자동차 판매대수가 전년 동기대비 15.8% 하락한 237만대를 기록했다.


IHS마킷이 발표한 미국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예비치는 53.7로 17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유로존 PMI 지수 또한 49.2로 2013년 6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월14일∼2월21일 싱가포르 석유제품은 휘발유, 경유, 등유 모두 상승했다.


휘발유는 배럴당 3.33달러 상승한 67.17달러, 등유는 배럴당 2.35달러 상승한 80.22달러를 기록했다. 경유는 배럴당 2.60달러 상승한 81.39달러를 기록했다.


2월13일 기준 싱가포르 경질제품 재고는 41만7,000배럴 증가한 1,645만7,000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은 16만1,000배럴 감소한 1,142만8,000배럴을 기록했다. 중질제품은 383만9,000배럴 증가한 2,315만5,000배럴을 기록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3876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