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스마트제조기술 수준이 가장 앞선 기술을 보유한 미국대비 7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체계적인 스마트제조기술 확보를 위해 로드맵을 만들어 기술개발 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서 박건수 산업정책실장이 참석한 가운데 ‘스마트제조기술 R&D 로드맵’ 완성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스마트공장 수요기업인 현대중공업, LG전자 등과 공급기업인 삼성SDS, 한컴MDS 등과 산업기술평가원, 전자부품연구원, 생산기술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스마트제조기술 R&D 로드맵은 제조업 활력 회복 및 혁신전략의 후속 과제로서,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스마트제조 혁신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국내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혁신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이다.
산업부가 이날 발표한 국내외 스마트제조 기술수준에 따르면 국가별 종합 결과는 가장 앞선 선진국인 미국(100.0%)을 기준으로 독일(93.4%, 0.4년), 일본(79.9%, 1.5년), EU(79.6%, 1.5년), 한국(72.3%, 2.5년), 중국(66.0%, 3.1년)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7개 분야 중 통신·공장운영시스템 등 2개 분야에서 선도그룹, 생산현장·IoT·제어시스템·비즈니스·플랫폼 등 5개 분야에서 추격그룹에 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25개 세부기술 기준으로는 인터넷통신은 최고 기술을 보유, 산업용 통신·MES 등 5개는 선도그룹, 머신비전·모션컨트롤러 등 16개는 추격그룹, PLM, DCS, CAx 등 3개는 후발그룹이었다.
이에 정부가 지난해 말부터 스마트제조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이 함께 작성한 이번 로드맵은 자동차, 전자 등 국내 주력산업에 적용을 목적으로 한 실용형 로드맵이다. 이에 개별 기술 단위의 개발 전략에서 나아가, 장비·디바이스 등 HW와 산업 IoT·AI 등 SW적 기술을 융합하고, 호환성 제고를 위한 표준을 연계해 제조 현장에 쉽게 적용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생산시스템의 대대적 혁신은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 조건이며, 이를 위해, 국내 스마트제조기술 고도화, 자립화 등 스마트 제조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전방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산업부는 공청회 등 추가 의견 수렴을 거쳐, 3월 말 스마트공장 엑스포를 계기로 수립된 로드맵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박건수 산업정책실장은 “로드맵이 완성되는 올해를 ‘스마트제조 기술 혁신 원년의 해’로 삼고, 로드맵 기반의 체계적인 R&D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며, “현재 스마트공장 확대, 수요자 맞춤 스피드공장 신규 구축사업 등을 추진 중이나. 스마트제조기업의 수요를 충분히 반영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어서 이번 로드맵을 계기로 대형 R&D 사업을 기획·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