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인들이 내년 경기를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중소기업 3,003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중소기업 경기전망 및 경영환경조사’ 결과 2019년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SBHI)는 전년도 전망지수 대비 9.5p 하락한 83.2로 나타나, 2년 전 수준(83.1)으로 회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전년전망대비 8.4p 하락한 83.7, 비제조업은 전년전망대비 10.2p 하락한 82.9를 기록하여 1년 전 경기전망보다 부정적인 전망이 증가하였는데 전년에는 새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하였으나 올해는 경기부진과 급격한 경제정책에 대한 실망감으로 하락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기업인들은 2019년 국내 경제성장률을 2.5%로 전망하였는데, 이는 IMF(2.7%), 무디스(2.3%), 한국은행(2.7%) 등 국내외 기관의 한국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산술평균(2.57%)한 전망치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2019년 국내 경제에 대해 ‘나빠질 것이다’(39.0%) 응답이 ‘좋아질 것이다’ (6.6%) 응답보다 5.9배 많았고 ‘비슷할 것이다’(54.3%) 순으로 조사됐다.
국내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그 요인에 대해 ‘정부의 최저임금인상, 근로시간단축 등 급격한 경제정책’(65.6%)을 가장 많이 응답했고, 이어 ‘기업규제 및 기업부담 가중정책’(63.0%), ‘미중 무역전쟁 영향’(29.5%) 등의 순으로 답변했다.
중소기업계는 2019년 새해 경영목표로 ‘적정이윤 확보 등 내실경영’(67.8%)을 최우선적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어 ‘생존우선·투자축소 등 보수적 경영’(18.7%), ‘투자확대·해외진출 등 공격적 경영’(7.5%), ‘신사업·신기술 도입 등 혁신경영’(5.9%) 순으로 응답했다.
중소기업계는 내년도 경영목표 수립과 관련하여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고 경제위기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불안감에서 ‘보수적이고 내실을 키우는 경영’(86.5%)을 ‘공격적이고 선제적인 경영’(13.4%)보다 6배 이상 많이 구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예상되는 경영애로로 과반수이상이 ‘내수부진’(57.9%)과 ‘인건비상승’(52.5%)을 우선적으로 응답했고, 이어 ‘업체간 과당경쟁’(29.5%), ‘근로시간단축’(13.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2019년 중소기업 성장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경제정책으로 압도적으로 ‘내수활성화 정책’(66.0%)이라고 응답했고, 이어 ‘노동현안제도화 속도조절’(47.0%), ‘운영자금 등 적극적 금융세제지원’(44.5%), ‘중소기업 인력수급난 해소’(18.0%), ‘금리 및 환율안정’(17.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전망하는 2019년 예상환율은 1144.7원이며, 채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환율은 1128.9원으로 15.8원의 격차가 있으며, 환율에 민감한 수출 중소기업이 전망하는 2019년 예상환율은 1139.6원으로 채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계환율인 1134.8원과의 환율차이는 4.8원으로 축소됐다.
이재원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내년도 중소기업 경기전망이 크게 하락한 것은 올해 우리경제가 기대만큼 회복되지 않았고 일부 정부정책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부담을 고려하지 않은 채 빠르게 도입·시행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라며 “지금이 정부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활력회복을 위해 과감한 내수활성화 정책을 펴야할 시기이며, 나아가 향후 정부정책 수립 시에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더 많이 들어 주시기를 바란다”고 덧 붙였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