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학연구원(원장 김성수)이 국내 화학소재의 표면 물성 및 감성 품질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문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화학연구원은 ‘제 6회 내후성 학교’를 27일 대전 화학연 강당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는 자동차, 가전, 석유화학 등의 산업계 내후성 담당 인력 150여명이 참석했다.
내후성이란 화학소재나 제품이 햇빛, 열, 수분 등의 기후 환경에 견디는 성질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내후성을 시험하고 평가하는 것은 자동차, 가전, 건축 등의 산업 전반에 꼭 필요한 인프라 기술이다.
특히 최근에는 투명성, 친수성(물과 잘 결합하는 성질), 발수성(물을 싫어하는 성질), 열이나 기체의 차단성 등 화학소재의 표면 물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광택, 색상, 질감, 고급감의 유지 등 소재의 감성 품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화학연 신뢰성평가센터(센터장 변두진)는 내후성 시험 및 평가기술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2013년부터 운영하며 국내 산업에 필요한 새로운 내후성 시험기술을 소개하고 기업 간 협력을 통한 기술 및 데이터 공유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올해 ‘내후성학교’에서는 △새로운 내후성 표준시료의 소개(변두진 화학연 박사) △자외선 안정제의 유용성(박수열 화학연 박사) △옥외 노출된 플라스틱의 물성 변화 예측 기법(김선우 화학연 책임) △실내 환경에 대한 내광성 시험 기술(유민재 화학연 연구원) △재귀반사시트의 신회성(한진욱 리플로맥스 소장) △현실 기후모사적 내후성 시험법(변두진 화학연 박사) 등이다.
화학연 신뢰성평가센터는 앞으로도 국내 내후성 시험기술 관련 전문가 양성 교육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