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경쟁력을 가진 만 39세 이하의 신진 연구자들을 격려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학술연구 관련 세계적인 출판사인 엘스비어(회장 지영석)와 함께 세계적 수준의 연구 경쟁력을 갖춘 10인의 신진연구자를 선정하고 12일 오전 11시 한국연구재단 대전청사에서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연구재단은 국내 젊은 연구자들의 학술연구논문 피인용 실적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해 자연과학·공학분야 5명, 생명과학분야 3명, 인문사회분야 2명까지 총 10명을 올해의 신진연구자로 선정했다.
자연과학·공학 수상자는 △서재홍 한양대 교수(37세, 차세대 공개키 암호시스템 설계) △왕동환 중앙대 교수(37, 차세대 유기전자소자 원천기술) △유창현 이화여대 교수(36, 극지역 온도 변화 영향의 기작 분석) △정재웅 경희대 교수(35, 태양전지용 유기 및 무기 소재) △최준일 포항공대 교수(36, 거대 다중 안테나 무선통신 시스템)이다.
생명과학 수상자는 △김성연 서울대 교수(33, 편도체 신경회로의 불안 기능 분석) △정효성 협성대 교수(35, 항암치료용 광역학치료제 개발) △제유진 경희대 교수(39, 암 예방·관리를 위한 영양역학)이며, 인문사회 수상자는 △구민정 성균관대 교수(39, 목표의 동기 부여 요인에 대한 영향) △윤장혁 건국대 교수(39,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이다.
수상자들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세계적인 연구실적을 산출한 연구자들로서, 대부분이 생애 첫 연구 등의 기초연구사업을 수행한 경험이 있어 그간 정부와 재단의 기초연구 투자가 성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논문 인용 분석을 공동으로 진행한 엘스비어의 지영석 회장은 축사에서“유능한 젊은 연구자들이 호기심을 바탕으로 끊임없는 질문을 하여 국제 수준의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게 지원하고 싶다”고 말했다.
연구재단 노정혜 이사장은 “대부분의 노벨상 수상자들은 30대 후반 이전에 노벨상과 관련된 핵심연구를 시작하여 50대에 연구를 완성한다”며 “우리나라 연구자들이 마음껏 자신의 역량을 펼치고,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환경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