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일 산업부 차관이 글로벌 수소경제 육성에 동참하며, 한국의 수소 경제 확산 노력을 세계에 소개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 정승일 차관은 10월23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수소각료회의에 참석해 혁신성장의 핵심 플랫폼인 수소 에너지 확산방안 대해 논의했다.
올해 최초로 개최된 ‘수소각료회의’는 미래 친환경에너지인 수소의 생산과 활용저변을 넓히고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행사로, 미국, 일본, EU, 호주, 중국, 프랑스, 독일, 카타르 등 수소 관련 주요 국가와 현대자동차, 도요타, 에어리퀴드, 엔지 등 수소 관련 기업들이 대거 참여해 수소경제의 미래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음을 보여줬다.
정 차관은 ‘수소각료회의’ 연설을 통해 수소는 디지털 혁신시대의 핵심 에너지라고 평가하면서, 특히 IoT 네트워크의 기반인 데이터센터, 이동형 디지털 허브인 자율주행차 등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ICT 혁신 분야에서 수소 에너지가 크게 기여할 것이라 전망하고, 세계 최초 5G망 상용화를 앞두고 있으며, 수소차와 자율차 등 미래차 산업을 집중 육성 중인 한국의 잠재력을 강조했다.
또한 연말까지 수립예정인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등 수소경제 확산을 위한 한국의 노력을 소개하고, 이번 회의에서 채택된 ‘도쿄 선언’의 충실한 이행을 위한 글로벌 협력체제 구축, 공동 기술개발 및 국제표준 공동연구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도쿄선언의 주요내용에는 △수소기술협력 및 표준개발 △수소안전 및 공급망 공동연구 △수소의 CO2 등 감축 잠재력 연구 △수소관련 교류, 교육 및 홍보 등이 담겨있다.
한편 이번 도쿄방문에서 정 차관은 최근 국가 수소로드맵을 발표하며 수소산업 육성에 힘을 쏟고 있는 호주의 매튜 캐너번(Matthew Canavan) 자원 및 북호주 장관과 22일 면담을 갖고 양국 간 수소산업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정 차관은 수소차와 연료전지 등 수소 활용분야에 강점을 가진 한국과, 재생에너지, 가스 등 수소 생산분야에 잠재력을 보유한 호주가호혜적인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 평가하면서, 한국 정부도 수소경제를 혁신성장 3대 전략투자 분야로 지정하고 집중 투자하고 있는 만큼, 양국간 협력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진행할 정부 간 협의채널을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캐너번 장관은 한국의 에너지전환 정책과 수소산업의 가능성에 관심을 표했으며, 양측은 실무협력채널 개설 추진 등을 통해 수소 분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