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 시장 선점을 위해 2022년까지 민관이 총 2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는 25일 수소차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혁신 2020 플랫폼’ 2차회의를 개최해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오늘 회의를 통해 글로벌 수소차 시장 선점을 위해 업계와 정부는 2018년 1,900억원, 2019년 4,200억원 등 2022년까지 총 2조6,000억원을 투자해 2020년 수소차 생산공장 증설, 2021년 연료전지 스택공장 증설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2022년까지 1만6,000대의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타 부처와 협업해 2019년 수소버스 보조금 신설, 운송사업용 수소버스 취득세 감면(50%), 2022년까지 수소차 보조금 유지 등 정부의 수소차 지원이 적기에 이루어지도록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서는 현재와 같은 지자체·연구기관 중심, 보조금 중심의 방식으로는 조기 구축이 어렵다는 업계 의견을 반영해 올해 11월 출범 예정인 수소충전소 특수법인(SPC)의 성공적인 출범을 지원한다.
또한 △수소충전소 국산화율 2배 제고(40→80%) △압축천연가스(CNG) 개질형 수소승용차·버스 겸용 충전소 개발 △이동형 수소충전소 개발을 지원해 2022년까지 충전소 구축비용이 30%이상 줄어들도록 하고, △이동식 수소충전소 설치 △개발제한구역·연구개발특구내 수소충전소 설치 △융복합충전소 설치를 허용하기 위한 규제개선을 2019년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수소는 현재 수소 공급량·공급가격의 불확실성이 높고, 중장기 수소에너지 공급에 대한 예측가능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2022년까지 경유·액화석유가스(LPG)보다 저렴한 가격(70원대/km, 넥소 완충시 약 4만5,000원)으로의 공급을 위해 수소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 및 유통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수소유통센터를 2019년에 신설해 안정적인 수소에너지 수급 및 가격 관련 정보를 제공·관리하고, 2019년에는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Power-to-Gas(P2G)시스템 실증사업을 추진해 친환경 수소생산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2018년말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수소에너지 관련 내용 반영을 추진하는 등 수소경제 관련 법·제도 기반 확충을 적극 추진한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글로벌 수소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과감한 선제투자를 추진하겠다”며 “연료전지 스택·수소차의 생산 확대, 충전소 투자에 적극 동참하고, 업계 간 상생협력으로 탄탄한 부품소재 생태계를 구축하고 새로운 수소에너지 관련 비즈니스도 많이 개발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