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주재로 개최된 ‘제15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원가혁신 △기술혁신 △시스템혁신 등 3대 혁신을 통한 ‘조선산업 발전전략’을 확정·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호·불황의 경기변동에도 견고한 조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조선사간 경쟁 구도 및 사업 재편에 나선다.
대형 3社는 자구계획 이행, 시장여건 및 경영정상화 추이 등을 감안해 중장기적으로 대우조선 주인 찾기를 검토하고, 중형사는 성동조선 회생절차 및 STX 구조조정 원활히 추진, 업계 자율의 합종연횡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갖춘 중견조선사를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위기에 처한 중소형 조선사들의 수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중소형 조선사에 특화된 설계·생산기술을 개발하고, ‘고속선박 설계지원센터’ 구축 및 ‘중형선박 설계 경쟁력 강화’를 통해 新수요·고부가 선박 설계 지원에 나선다.
여기에 ICT 기술을 활용한 최적의 물류, 선박 건조 시스템을 구축해 세계 최고 생산성의 조선소 건설을 추진한다.
더불어 친환경 전환을 위한 LNG연관선박 중심의 선제적 시장창출, 5조5,000억원 규모 공공발주 등 일감확보 확대에도 나선다.
LNG연료선은 매년 1∼2척씩 관공선의 시범발주를 실시하고, 민간선사의 발주 유도와 LNG연료추진 적합선박 선정을 추진한다.
또한 ‘도시가스사업법’ 개정을 통한 ‘선박용 천연가스 사업’ 신설 및 가스공사의 LNG벙커링선 발주에도 나선다.
더불어 5조5,000억원 규모의 공공선박 발주 등 국내 발주 선박에 대한 수주노력도 경주한다.
이외에도 자율운항·친환경 등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전후방 산업, 대중소 상생을 통한 산업 생태계 강화와 구조조정에 따른 일자리 유지 및 호황 대비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형사-중소형사-기자재-협력사간 역할 분담 및 상생을 통한 경쟁력 강화하고 수주량은 2022년 우리 수주비중 31.7%(11∼15년 평균)에서 33%로 상향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LNG선 등 고부가 선박 수주 점유율 및 기술격차 유지와 2021년경 청년인력 신규채용 불황전 수준 회복(연 4,000명) 및 2022년 12만명 수준으로 회복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번 발전전략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면서 조선산업 상황변화에 따른 보완대책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조선산업의 글로벌 시황은 점차 회복 중으로 2022년경 과거(2011∼2015년 평균) 수준의 회복으로 우리 수주량 확대도 예상되나, 2022년까지 공급능력 과잉은 지속되므로 적절한 구조조정 및 수주 경쟁력 향상을 통한 간극을 메우는 노력 병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조선산업 패러다임은 친환경, 자율운항, 생산 자동화로 빠르게 전환중이고, 경쟁국은 M&A 등을 통한 경쟁력 제고도 추진 중이므로 이를 활용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