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03-22 12:38:38
기사수정


▲삼성전자 ‘엑시노스 7 (9610)’

삼성전자가 10나노 핀펫 공정을 적용하고, 딥러닝과 이미지 처리 기능을 강화한 새로운 모바일 AP를 선보이며,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혔다.

 

삼성전자는 엑시노스 7 시리즈 신제품 엑시노스 7(9610)’22일 발표했다.

 

이 제품은 프리미엄 AP 엑시노스 9시리즈(9810)와 같은 10나노 핀펫 공정을 적용하고 딥러닝 기반 이미지 처리 기능 등 최첨단 기술을 탑재했다.

 

특히 카메라 기능과 멀티미디어 활용에 집중되는 최근 스마트폰 트렌드에 맞춰 이미지 처리 기능을 크게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딥러닝 기술과 이에 최적화된 내장 하드웨어를 탑재하여, 사진 촬영 시 정면을 보지 않거나 얼굴이 머리카락, 모자 등으로 가려져 있는 경우에도 빠른 속도로 안면 인식이 가능하다. 또한 정확해진 심도 감지를 통해, 싱글 카메라만으로도 강화된 아웃포커싱 효과(배경을 흐려 인물을 돋보이게 하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했다.

 

엑시노스 7(9610)’4K 120fps를 구현할 수 있는 프리미엄급 멀티미디어 코덱을 지원한다. 더불어 이미지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내장 ISP(Image Signal Processor) 속도를 이전 제품(엑시노스 7 7885) 대비 약 1.6, 프로세서와 이미지 센서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MIPI,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속도를 약 2배 개선했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2단 적층 구조의 이미지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초당 480프레임의 FHD(1920×1080) 슬로우 모션 영상을 지원하며, 장시간의 촬영도 가능하다.

 

엑시노스 7(9610)은 최대 2.3GHz로 동작하는 고성능 빅코어 4(Cortex-A73)와 최대 1.6GHz로 동작하는 리틀코어 4(Cortex-A53)가 결합된 옥타(Octa)코어로 구성돼 있으며, 뛰어난 그래픽 성능을 자랑하는 2세대 바이프로스트 기반의 ARM Mali-G72 GPU를 탑재해 강력한 멀티미디어 성능을 보여준다.

 

또한 별도의 칩 없이, 동작 인식과 상황 인지를 위한 센서 허브(Cortex-M4F)’를 프로세서에 내장해 전력 효율성을 높였다.

 

안정된 통신 연결도 강점이다. 전세계 어디에서든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2G CDMA부터 4G LTE까지 아우르는 6모드 모뎀을 탑재했다. 다운로드 시 600Mbps(Cat.12 3CA), 업로드 시 150Mbps(Cat.13 2CA)의 속도를 지원한다.

 

802.11ac 2x2 MIMO 와이파이, 블루투스 5.0FM 라디오, 그리고 GNSS 항법장치도 내장했다.

 

삼성전자 System LSI 사업부 마케팅팀장 허국 상무는 엑시노스 7 (9610)은 단순히 성능 강화 뿐만 아니라 카메라와 멀티미디어 기능에 특화된 제품이라며 딥러닝 기반 이미지 처리 기술과 슬로우 모션 지원 등을 통해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엑시노스 7 (9610)’2018년 하반기 양산 예정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amenews.kr/news/view.php?idx=3597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3D컨트롤즈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