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협회는 9일 LPG협회와 융복합충전소(수소+LPG) 보급 활성화 및 LPG와 수소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수소충전소 부지 선정 어려움을 해결하고 충전소 운영비 감소를 위해 이뤄졌다.
현재 국내에는 약 2,000여개 LPG충전소가 구축돼 운영되고 있으며, 또한 기존 LPG충전소에 수소충전소를 함께 구축 할 수 있는 ‘융복합 및 패키지형 자동차충전소 시설기준 등에 관한 특례 기준’이 고시돼 있기에 기존 LPG충전소 부지를 활용한 융복합충전소 구축으로 수소충전소 부지선정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판단되고 있다.
장봉재 수소협회 회장은 “MOU를 통해 기존산업과 신산업이 상생 발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수소충전소 보급 확산은 수소차 보급 확대로 곧바로 이어지는 것이 당연하기에 기존 산업의 인프라 활용을 통해 경쟁력 있고 국내에 최적화된 수소충전소 모델을 수립 및 적용해 수소사회를 조기 실현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연구한 자료에 의하면, 국내 주요 6개 광역시·도를 대상으로 융복합충전소 가능 부지를 예측한 결과, 도심 내 융복충전소를 구축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는 곳은 66개소로, 당장 구축할 수 있는 충전소는 16곳, 부지활용 등을 통해 구축 가능성을 갖고 있는 충전소는 30개소, 불가능한 충전소는 20개소로 조사됐다.
또한 융복합충전소(수소+LPG)구축 시 중소기업에 한해 기존 LPG충전소 운영 인력을 수소충전소에 활용할 수 있는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적용하면, 연간 수소충전소 운영비 중 인건비로 약 9,000만원(안전관리책임자1인, 안전관리원1인 구성 경우)정도 지출되는데, 이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아울러 사무실 건축비, 캐노피 구축비, 부지 조성비 등도 절감할 수 있어 충전소 구축과 운영 부분에 있어 신규로 충전소를 구축하는 것에 비해 상당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