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등 온실가스를 탄소 자원으로 활용하여 기초 화학원료 및 연료를 생산하는 탄소자원화 기술개발이 전문 연구단의 출범으로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규호)은 28일 대전 본원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 및 차세대 탄소자원화 연구단 자문위원, 이규호 원장을 비롯해 주요 핵심과제 책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탄소자원화 연구단’ 출범식과 현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탄소자원화 연구단은 화학연구원이 총괄책임을 맡고 22개 출연연 및 대학의 240여명 전문가 연구역량을 결집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자원화 분야의 대형 핵심원천기술 개발에 나서게 된다.
이에 5년간 39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부생가스(CO)/탄소폐자원 활용기술 △재생에너지 활용 CO₂ 전환 융합기술 △유기성폐자원 CO₂ 전환 융합기술 등 3대 분야 9개 핵심기술개발과제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21년까지 탄소자원화 실증 모델 도출, 실용 가능한 탄소자원화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 세계 선도 수준의 원천기술 개발 등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연구단의 출범과 함께 ‘탄소자원화 전략 플랫폼’ 사업도 본격적으로 착수된다. 이 사업은 탄소자원화 기술의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평가 표준화 연구를 통해 탄소자원화 기술의 온실가스 감축 인증 기반을 마련함과 동시에 탄소자원화 정책 수립 및 성과 확산을 총괄 지원하는 사업이다.
차세대 탄소자원화 연구단의 총괄 단장을 맡은 화학연구원 탄소자원화연구소 전기원 소장은 “화학연은 부생가스 활용 기술의 실증·상용화, 이산화탄소 활용 공백기술 및 대형 원천기술 확보, 온실가스 감축 효과 검증 및 성과 확산을 아우르는 전략적 포트폴리오를 마련했으며, 협업을 통해 신기후체제에 대비한 온실가스 감축 기술 확보 및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뛰겠다”고 의지를 다졌다.
화학(연) 이규호 원장은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도 많으면서도 석유, 가스, 석탄 등의 화석 자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국내에 버려지는 탄소폐자원을 고부가가치의 제품으로 전환하는 기술이 꼭 필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출연연과 대학 등이 협력하여 탄소자원화 연구개발과제가 착수하게 된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