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이 나노기술을 적용한 고효율 카파인디움 다이셀레나이드(이하 CISe) 태양전지 제조에 성공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곽병성 원장) 안세진·곽지혜 연구팀은 비정질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효율 카파인디움 다이셀레나이드(이하 CISe) 태양전지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8일 밝혔다.
CISe 태양전지는 구리-인듐-셀레늄 화합물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전지로 보편적인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제조단가가 낮고 얇게 제조할 수 있으며 눈·비오는 날, 흐린 날에도 일정량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용액 공정에 기반한 CISe 박막 태양전지는 제조 시 고밀도의 광흡수층 박막을 얻기가 어렵다는게 큰 단점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비정질 나노입자 사이의 공극을 금속 이온으로 채워 전체 공정의 원자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고밀도 박막 제조를 성공했다. 이를 통해 얻은 CISe 태양전지 효율은 11%로, 용액 공정으로 제조한 동일 물질계에서는 세계적인 수준에 해당한다.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안세진 박사는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용액 공정 기술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면서도 고효율을 낼 수 있는 박막 태양전지 제조 원천기술”이라고 밝혔다.
또한 공동 교신저자인 곽지혜 박사는 “현재 연구진은 CISe 태양전지 효율을 논문에 발표된 11% 에서 이미 13% 수준으로 향상시키는데 성공했으며, 이는 용액공정으로 제조된 CISe 태양전지의 세계 최고 기록에 해당한다”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연의 주요사업인 ‘도시형 프로슈머타입 저가·고효율 차세대태양전지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에너지연은 이번 연구에 포함된 기술과 관련한 10여 건의 국내외 특허를 확보하고 있으며 핵심 특허는 2016년 중국 특허 등록을 비롯해 국내 및 미국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또한 연구결과는 화학·환경 분야 권위지인 ‘그린 케미스트리(Green Chemistry)’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