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력 계통접속용량 부족으로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소규모 신재생발전 사업자들의 불편해소를 위해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0월 ‘1MW 이하 소규모 신재생 계통접속 보장’ 정책을 시행한 이후 접속 수요가 급증해 일부 사업자의 계통접속이 지연됨에 따라 연말까지 모두 해소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이에 3월말 현재 접속용량 부족으로 대기중인 약 974MW(3,681건)에 대해 변압기당 접속용량을 25MW에서 50MW로 늘리는 한편, 변압기 및 배전선로 등을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산업부는 풍부한 일조량과 상대적으로 값싼 토지 가격으로 소규모 태양광 발전이 밀집된 전남·전북·경북 지역의 현재 접속대기 중인 용량이 연내 사라질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새롭게 진입하는 신재생발전 사업자에 대해서는 한국전력의 홈페이지를 통해 사업희망 지역의 계통 접속 여유 용량을 조회할 수 있는 ‘분산전원 연계정보’ 서비스를 적극 알리고 병목 예상지역에 필요 설비를 선제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호남 지역 등 태양광 발전이 편중된 지역의 사업자에게 계통 여유가 있는 다른 지역을 알려주어 분산배치를 유도하고 향후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신재생에너지 증가 규모 등을 반영해 추가 송·변전 설비 등에 대한 투자 계획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연말까지 대기중인 용량이 모두 접속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지속적으로 계통접속이 신재생 보급 확대를 위한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