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석유공사와 한국광물공사 등 자원개발 공기업들의 영업손익 흑자 달성을 위해 구조조정이 더욱 강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주형환)는 7일 기술센터에서 우태희 산업부 2차관, 강주명 서울대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자원개발 구조조정 이행점검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석유공사와 광물공사는 투자절감, 자산매각 등을 통해 총 구조조정 규모를 2016년 약 1조7천억원에서 2017년 약 2조5천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석유공사는 올해 1조7천억원의 구조조정에 나설 예정인데 이를 위해 생산자산 수(총 147개)를 매각해 20% 이상 감축하고 두성호(시추선) 등 비주력 사업 분야 자산도 매각할 계획이다.
올해 8천억원의 구조조정에 나서는 광물공사도 비핵심 자산을 적극적으로 매각하고 사옥 공간을 외부에 임대하는 등 자구노력과 사업 관리 노력도 병행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광물 수급 안정을 목표로 지난 10년간 희유금속 비축을 완료함에 따라 민간기업 대상으로 ‘비축 광산물 대여제도’를 신규로 추진해 자체 수익 창출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석유공사와 광물공사는 경영 정상화 전까지는 명예퇴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하더라도 신입 직원 채용없이 기관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우태희 2차관은 “공기업 사장 이하 임직원들이 합심하여 경영 쇄신에 최선을 다해달라”며 “어려운 시기를 슬기롭게 대처해 나간다면, 경영 정상화 뿐만 아니라 국민의 신뢰도 점차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공기업들의 구조조정 이행 실적을 점검한 결과, 투자절감, 자산매각, 투자유치 등 총 1조7억원 규모의 구조조정이 추진돼 적자 규모가 전년대비 약 1조원 축소된 것으로 집계됐고 특히 석유공사는 지난 4분기에 2년만에 분기별 영업손익이 흑자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