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IoT(사물인터넷)와 로봇을 중심으로 철저히 미래를 준비하는 한편, 프리미엄 브랜드와 혁신 기술에 대한 꾸준한 투자와 마케팅으로 LG전자 생활가전의 글로벌 위상을 지속 강화할 것이다.”
송대현 LG전자 H&A(홈어플라이언스&에어솔루션) 사업본부장 사장은 현지시각으로 지난 5일 라스베이거스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이와 같이 밝히며 글로벌 가전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사업 전략을 공개했다.
LG전자는 이번 CES 2017에서 가전 제품이 고객 생활 패턴 및 주변 환경을 학습해 스스로 작동하는 딥 러닝 기반의 생활가전 ‘인공지능’ 기반 홈 IoT, 로봇 중심의 가전 제품을 공개했다. 또한 스마트홈 서비스 ‘스마트씽큐(SmartThinQTM)’와 연계해 고객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로봇도 공개했다.
LG전자는 인공지능 가전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지난 해 말 홈 IoT 및 로봇 관련 조직들을 통합해 ‘H&A스마트솔루션BD(Business Division)’을 신설했다. 이 조직을 중심으로 전사 역량을 투자해 새로운 스마트홈 서비스, 가정용 로봇, 상업용 로봇 등의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한 LG전자는 통신 기술과 딥 러닝 기술을 융합한 인공지능 가전을 꾸준히 선보여 스마트홈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회사는 올해 출시하는 모든 가전제품에 무선인터넷(WiFi)을 지원해 생활가전의 IoT를 가속화한다. 또 독자 개발한 딥 러닝 기술 ‘딥씽큐(DeepThinQTM)’를 탑재한 스마트 가전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최근까지는 일부 가전제품, 스마트폰 등이 서로 정보를 교류하고 동작을 제어했던 데 비해, 인공지능 가전은 모든 제품이 서로 연결돼 고객의 제품사용 패턴 및 주변 환경을 스스로 학습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LG전자는 지난해 ‘스마트씽큐 센서(SmartThinQ™ Sensor)’, ‘스마트씽큐 허브(SmartThinQ™ Hub)’ 등 스마트홈 액세서리를 출시하며 ‘일반 가전의 스마트화’를 선언한 데 이어, 올해 ‘웹OS’ 탑재 스마트 냉장고 등 스마트 가전 라인업을 확대하며 ‘스마트씽큐’의 저변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LG전자는 향후 스마트홈과 연계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로봇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로봇청소기, 홈 IoT 등을 통해 축적해온 인공지능 및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해 가정용 및 상업용 로봇 개발에 적극 나선다.
LG전자가 이번에 공개한 가정용 허브(Hub) 로봇은 집안 곳곳에 위치한 미니(Mini) 로봇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행동과 음성을 실시간으로 파악,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인터넷(Wi-Fi)을 통해 TV, 냉장고, 에어컨 등의 가전제품은 물론 조명과 보안시스템까지 제어한다.
LG전자는 상업용 로봇 시장에도 진출해 로봇제품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한다.
실제로 이번 전시회에 △공항 방문객에게 항공기 탑승 시간, 체크인 장소 등 각종 정보를 화면 및 음성으로 안내하는 ‘공항 안내 로봇’ △스스로 청소가 필요한 곳을 찾아가 청소해주는 ‘공항 청소 로봇’ △스스로 잔디를 주기적으로 관리해주는 ‘잔디깎이 로봇’ 등을 선보였다. ‘공항 안내 로봇’과 ‘공항 청소 로봇’은 올해 인천국제공항에서 현장 테스트를 시작한다.
LG전자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을 바탕으로 새로운 로봇 컨셉 및 기술 플랫폼을 지속 발전시켜 로봇 사업을 체계적으로 준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