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나노입자인 퀀텀닷(QD, 양자점)이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바이오, 태양전지 등에 적용되며 관련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비카드뮴계 친환경 소재 기술개발 동향, 응용분야별 상용화 전망 등을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교육연구소(www.kiei.com)는 오는 1월17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2017년 QLED 소재·공정 연구, 기술개발과 퀀텀닷 신소재 트랜드 및 응용, 사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QLED 소재·공정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발전전망 및 생태계 조성전략을 비롯해 반도체 공법을 활용한 대면적 미세 퀀텀닷 패턴 형성과 친환경 퀀텀닷 소재의 연구,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퀀텀닷 디스플레이, 바이오, 태양전지, 투명 디스플레이 등 각각의 응용분야별로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응용사례 및 상용화 전망 등 퀀텀닷의 제반정보를 심도있게 논의하게 된다.
세미나 주제는 △QLED 소재·공정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발전전망 및 생태계 조성전략 △반도체 공법(노광공정)을 활용한 대면적 미세 퀀텀닷 패턴 형성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활용 및 기대효과 △투명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비카드뮴 퀀텀닷 소자 연구, 기술개발 및 응용, 사례와 상용화동향 △친환경 퀀텀닷 소재의 연구, 기술개발과 이를 이용한 QD-LCD 컬러 변환층 화소형성 소재 및 QD-LCD와 QLED 비교분석 △퀀텀닷 디스플레이의 산업구조/특성과 시장동향 및 주요 기업체동향 △디스플레이용 퀀텀닷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비카드뮴 퀀텀닷 TV를 위한 재료 및 공정기술동향 △태양전지용 퀀텀닷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응용, 사례 및 상용화전망 △그래핀 퀀텀닷(GQD) 융합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응용, 사례 및 상용화전망 △바이오용 퀀텀닷 연구, 기술개발동향과 응용, 사례 및 상용화전망 등이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최근 인사이트미디어 분석자료에 의하면 TV 화질 경쟁이 화소(픽셀)수에서 WCG(Wide Color Gamut, 광명색상표현)과 HDR(High Dynamic Range)로 옮겨지면서 자연에 가까운 폭넓은 색상을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는 기술경쟁이 되고 있는 가운데 퀀텀닷 기술은 WCG와 HDR 두 기술이 결합되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색과 화면 밝기를 TV가 표현할 수 있게 됐다”면서 “금번 세미나를 통하여 성큼 다가온 퀀텀닷 시대에 미래 발전전략과 신성장 신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폭넓은 정보교류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kiei.com)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