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충전소 설치 규제 완화로 다양한 형태의 충전소 설치가 본격화되고 수소 카쉐어링, 수소 택시, 수소 버스 등 시범사업이 펼쳐지는 등 수소차 보급 및 발전을 위한 정책들이 본격 시행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수소융합얼라이언스 발족식을 개최했다. 이번 발족식은 지난 7월7일 개최된 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된 ‘전기차·수소차 발전전략’ 후속대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지난 7.7 제 10차 무투회의 이후 수소차 보급 및 산업발전을 위한 후속대책들이 지속 추진 중이다.
우선 충전소 설치 규제완화와 관련해서는 지난 7월 ‘융·복합 및 이동형 자동차 충전소 설치기준 등에 관한 특례고시’가 제정돼 충전소간 및 충전소내 설비간 이격거리 규정을 합리적으로 완화했다.
또한 압축·저장·충전 설비를 모듈화해 기존 대비 설치비용을 30% 절감할 수 있는 패키지형 충전소 설치를 허용하고, 방호벽을 설치해 안전을 확보할 경우, CNG·LPG 등 다른 충전소내 수소충전소 설치를 허용했다.
충전소 관련 기술개발에도 적극나서 2016년 9월부터 충전소 국산화와 가격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지원에 들어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35억원을 들여 패키지형 수소충전 플랫폼 개발 및 실증에 들어가며 2016년부터 2019년까지 50억원을 투입해 수소융·복합스테이션 위험성 평가 및 연구에 들어간다.
또한 수소 농도센서, 저장용기, 급속 냉각장치, 디스펜서 등 핵심부품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연 35억원 수준의 예산을 투입한다.
수소차 보급확대를 위한 인센티브도 강화된다.
개별소비세를 400만원한도로 감면하고, 전기차와 동일한 수준의 취득세 감면을 신설한다. 또한 현재 2,750만원 정도의 지원금을 상향하고, 구매보조금을 개인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더불어 전기차와 동일한 수준의 운행인센티브를 부여해 전국 유료도로 통행료의 한시적 할인 및 공영주차장 주차료 할인을 실시할 예정이다.
2017년부터는 전용번호판을 도입해 식별을 강화하고, 2016년 6월부터는 공공기관·지방공기업의 전기차·수소차 의무구매 비율을 현행 25%에서 40%까지 확대했다.
수소차를 이용한 시범사업도 추진된다.
광주광역시에서는 전국 최초로 15대 규모의 수소차 활용 카쉐어링에 나선다. 대상은 창조경제혁신센터 보육 업체로 광주송정역 주차장을 중심으로 기 구축된 진곡 충전소와 광산의 신규 충전소를 활용할 예정이다.
울산은 공장에서 생산되는 수소를 활용해 20대 규모의 수소택시사업에 나선다. 충전소는 기 구축된 매암 및 구축예정인 신규충전소를 활용할 방침이다.
수소버스는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울산 등에서 실증·시범운행을 하고, 2019년부터는 정규노선의 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