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 업계가 신흥국 경기침체 등으로 생산·수출 모두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수소차,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에 대한 투자확대로 위기 돌파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주형환 장관 주재로 정진행 현대차 사장, 박한우 기아차 사장, 제임스김 한국 GM 사장, 박동훈 르노삼성 사장, 최종식 쌍용차 사장 등 완성차 5사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자동차 업계 CEO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주력산업인 자동차 산업은 신흥국 경기침체로 인한 세계시장 수요감소 등으로 올해 7월까지 자동차 누적 수출액이 전년동기대비 13.6% 감소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세계 각국 기업들이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시장의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에 나서면서 향후 자동차 시장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주형환 장관은 “테슬라, 구글, 애플 등 새로운 플레이어의 등장, 전기차 시장을 주도하는 중국의 급부상 등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최근 정부가 ‘전기차·수소차 발전전략’, ‘자율주행차 국가전략프로젝트’ 등 적극적인 지원 정책과 미래차를 포함한 신산업분야 R&D 및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대폭 확대해 내년 세제개편방안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R&D를 통해 개발한 신성장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한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대기업 7%, 중소기업 10%)도 신설해 R&D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지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자동차 업계 CEO들은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분야의 투자와 신차 출시 등 적극적인 대응 노력을 기울여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선 현대자동차는 올 하반기중 수소전기차 핵심부품인 연료전지 생산 확대를 위한 생산라인에 대한 투자와 전기차·수소차 보급을 위한 카쉐어링 시범사업 등을 추진하고, 기아차는 친환경 기술 R&D 투자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르노 삼성은 하반기 초소형전기차 ‘트위지’ 국내 출시와 아울러 1톤 전기트럭 상용화 개발을 추진중이다. 한국지엠은 내년 ‘Bolt’ 전기차 모델 출시를 준비 중이며 쌍용도 현재 상용화 개발 중인 전기차 모델을 2~3년 내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한 주형환 장관은 “치열해지고 있는 글로벌 생산경쟁 체제에서 현대, 기아, 한국 지엠 등 주요 업체의 파업 등으로 8월에만 생산 차질 2만8천대, 수출 차질 2억6,600만달러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부디 노사 양측이 협력하여 조업을 조기에 정상화하고 수출회복 전선에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